등록 : 2008.05.04 22:33
수정 : 2008.05.04 22:33
유동성 위기때 지원…한·중·일 분담비율 ‘신경전’
아시아 지역에 외환위기가 발생할 때 긴급 유동성을 지원해 주는 800억달러 이상 규모의 공동펀드 설립이 가까워졌다. 이 펀드는 앞으로 아시아권의 국제통화기금(IMF) 같은 이른바 ‘아시아통화기금(AMF)’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높다.
기금 조성을 위해 한·중·일 3국은 약 640억 달러,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은 160억 달러를 분담하는 쪽으로 의견 접근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한·중·일 3국과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회원국들은 4일(현지시각) 오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제11차 ‘아세안+3’ 재무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에 합의할 예정이다.
신제윤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은 3일(현지시각) 기자들과 만나 “아세안+3 회의에 앞서 열린 한·중·일 3개국 차관급 회담에서 공동펀드 규모는 최소 800억 달러 이상으로, 분담비율은 한·중·일과 아세안 국가들이 8 대 2로 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펀드 지원 조건은 만기 3개월에 최장 2년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리보(런던 은행간 금리)에 1.5~3%포인트를 더한 수준으로 의견 일치를 봤다.
지난해 일본 교토에서 열린 아세안+3 회의에선 회원국들이 보유한 외환보유액을 공동 출자해 펀드를 설립하자는데 합의한 데 이어, 올해는 전체 펀드 규모와 국가군 간 분담 비율을 정한 것이다.
신 관리관은 “그동안 아시아 국가들이 일시적 유동성 위기에 처했을 때 이를 막지 못해 헤지펀드 등에게 공격 당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공동펀드를 조성하면 이를 예방할 수 있다”며, “다만 이 공동펀드는 국제통화기금(IMF)과 독립적 성격이 아닌 보완적 성격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한·중·일 3국간 분담 비율을 두고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어 변수로 남아있다. 각국이 얼마를 부담하느냐에 따라 투표권 비율도 달라질 수 있어 3개국은 주도권을 잡기 위해 더 많은 분담금을 내려 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종구 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은 “공동펀드 설립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국제통화기금이나 미국도 인정하고 있다”며 “다만 3국간 조율이 이번 회의에서 이뤄질지는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마드리드/연합뉴스
김병수 선임기자
byungsk@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