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06.10 18:14
수정 : 2008.06.10 18:14
아시아 증시 동반하락…중 긴축정책에 유가급등 탓
중국 증시가 7% 넘게 폭락했다. 한국 증시도 1800선이 무너지는 등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급락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일 257.34(7.73%) 폭락한 3072.33으로 마감했다. 코스피지수는 1.91%(34.58) 하락한 1774.38로 마쳤고, 일본 닛케이지수는 1.1%, 대만 자취안지수는 2.54% 하락 마감했다. 홍콩 항셍지수도 4% 가까이 급락했다. 아시아 증시가 줄줄이 급락한 것도 중국 증시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중국 증시 폭락은 고강도 긴축 정책에 국제 유가 급등 영향이 겹친 탓이다. 지난 7일 중국 인민은행은 지급준비율을 오는 15일과 25일 두 차례에 걸쳐 1%포인트 올리겠다고 발표했다. 이렇게 되면 지급준비율은 17.5%가 된다. 애초 0.5%포인트 인상할 것이라는 예상을 뛰어넘은 조처다. 전날 중국 증시가 단오절 휴장이어서 지난 6일 미국 증시 폭락이 시차를 두고 반영된 요인도 컸다. 미국 증시는 국제 유가 급등으로 3% 이상 폭락했었다.
중국 정부가 추가 긴축 조처를 내놓을 거라는 전망도 악재로 작용했다. 12일 발표될 중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7.7%로, 전달의 8.5%보다 완화될 예정이지만, 국제 투기자금(핫머니)의 유입이 늘어나는 등 유동성 과잉 상태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중국의 4월 외환보유고는 744억6천만달러가 증가했는데, 이 가운데 무역흑자 166억8천만달러, 해외직접투자(FDI) 76억달러를 제외하면 유입경로가 불투명한 핫머니성 자금이 501억8천만달러나 된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가 조만간 시중은행의 대출을 제한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허재환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통제가 어려운 핫머니성 자금이 통화정책을 교란시키고 물가를 자극하기 때문에 중국 당국은 지급준비율 인상 등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며 “계속 높아지고 있는 외환보유고와 넘쳐나는 유동성, 지속되는 인플레이션 압박 등을 감안할 때 중국 정부는 추가적인 위안화 절상을 허용하지 않을 수 없는 위치에 있다”고 분석했다. 김진철 기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