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0.09 19:53 수정 : 2008.10.09 20:02

김종창 금감원장

금리추가 없이 이달안 시행키로

금융감독원은 조만간 저소득층 대출자를 중심으로 원리금 상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거치기간이나 만기를 늘려주도록 금융기관 지도에 나설 예정이다.

김종창(사진) 금감원장은 9일 서울 여의도 한 음식점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소득 하위 20% 계층 등 저소득층은 대출금 상환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며 “은행들이 이들에 대해 주택담보대출의 거치기간(원금 상환 유예기간)을 늘려주거나, 만기가 10년이면 15년 등으로 연장하도록 조만간 지도하겠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고객이 대출금을 제대로 못 갚으면 은행들의 건전성도 나빠지기 때문에 대책이 필요하다”며 “모든 저소득층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상환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달 안에 시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감원 가계신용 담당자는“저소득층의 경우 금융불안으로 신용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며 “만기 연장을 위해 대출을 갈아탈 때 신용등급 하락에 따라 금리가 올라갈 수 있는데, 이런 비용 없이 만기를 연장해 주도록 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김종창 원장은 현 금융불안 상황에 대해선 “미국발 금융위기에도 은행들의 외화유동성 비율이 100%를 넘고 건전성도 괜찮다”며 “대기업들의 수익성·건전성 지표도 미국보다 좋아서 은행과 대기업이 위기를 겪을 가능성은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중소기업은 다소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흑자 도산하지 않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내외 주가 급락에 따른 펀드 대량 환매(펀드런) 사태에 대해선 “가능성이 낮다”고 진단했다.

통화옵션상품‘키코’문제에 대해선 “계약 서류상으로는 은행의 잘못이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상품의 위험성을 제대로 설명했는지 자세히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한국은행의 정책금리 인하 결정에 대해선“한은이 현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