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12.17 19:46
수정 : 2008.12.17 19:46
자산건전성 높이기 비상
시중은행들이 연말 결산을 앞두고 연체율 관리를 부쩍 강화하고 있다. 가팔라지는 경기 침체와 코앞에 다가온 기업 구조조정에 대비해 ‘자산 건전성’을 최대한 높여야 하는 절박함에서다.
국민은행은 최근들어 연체 발생 등 이상 징후를 보이는 여신을 중점 관리하기 위해 여신관리부 내 ‘집중관리반’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17일 알려졌다. 또 내년부터는 영업점 업적 평가 때 연체 대출금 관리 실적 항목의 배점을 높이기로 했다.
하나은행도 이달 들어 가계영업본부에 연체 관리 전담반을 별도로 파견했고, 외환은행도 최근 여신관리 총괄반을 새로 만들었다. 이 조직은 건설업 등 부실 발생 위험이 큰 업종부터 대출 채권 이상 유무를 정밀 진단하고, 그 결과를 각 사업본부와 영업점에 통보하는 역할을 한다.
금융권 일각에선 과도한 연체율 관리가 기업들의 자금난을 심화시키고, 이는 다시 은행에 부실화의 짐을 추가로 지우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엔화대출을 받은 기업의 고통이 크다. 일부 은행들이 원-엔 환율 폭등에 따라 엔화대출 기업에 대출 만기 연장을 해주지 않거나 높은 금리를 부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환율 급등에 따라 담보가치가 크게 떨어져 추가 담보를 요구하거나 더 높은 이자를 받을 수밖에 없다”면서도 “대출 기업이 무너질 경우 은행도 큰 손실을 입는 만큼, 부작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여신관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시중은행 기업금융 담당 지점장은 “범정부 차원에서 중소기업 대출을 독려하고 있지만, 실제 본점의 지침은 ‘우량대출 증대’”라며 “실제 자금난이 심각한 중소기업들은 대출 받기가 한결 어려워진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지난 9월 이후 중소기업 대출 총량은 늘고 있는데도 중소기업인들이 여전히 자금난을 호소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