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도별 종합주가지수 등락률
|
이종우의 흐름읽기 / 지난 10년간 우리 시장은 유독 ‘짝수 해’에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2000년엔 주가가 1020포인트에서 시작해 504포인트로 끝나 무려 50% 넘게 하락했고 2008년에도 1900대에서 시작해 1100선까지 주저앉았다. 2002년도 예외가 아니었다. 연간으로는 10% 남짓 떨어지는 데 그쳤지만, 고점과 대비해서는 40% 넘게 곤두박질쳤다. 특히 이런 움직임은 대세 상승 기간이라 할 수 있던 2004년이나 2006년에도 예외가 아니었다. 평균치를 구해보면 2000년 이후 5번의 짝수 해 동안 주가가 평균 17.3% 떨어진 반면, 홀수 해에는 39.9%나 올랐다. 그래서 ‘짝수 해의 저주’라는 얘기가 증권가에 나도는 모양이다. 증시가 짝수 해에 신통치 못했던 것은 이때마다 경기가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보통신 기술이 보급되면서 세계적으로 경기 주기는 짧아졌다. 일반적으로 경기순환에는 기업 재고가 큰 영향을 미치는데,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세계 여러 곳의 재고 파악이 예전보다 훨씬 수월해지면서 예전보다 경기 순환이 짧고 약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경기 순환의 변동은 주식시장의 주기를 바꿔놓았다. 과거에는 경기가 5년을 주기로 움직였기에 증시의 정점도 1989년, 1994년, 2000년에 나타나는 등, 일단 일정한 방향의 추세가 나타나면 상당 기간 그 기조가 유지되는 속성이 있었다. 반면 지금은 경기 주기가 2년 정도로 짧아지다 보니 주가 역시 1년 단위로 등락을 되풀이하고 있다. 신제품이 쏟아져 나오면서 제품 수명이 아주 짧아진 것도 주가 변동 요인으로 꼽힌다. 으레 신제품이 시장에 나오면 처음에는 수요가 늘어나 경기와 주가 상승에 보탬을 주지만 점차 시간이 지날수록 수요는 정체하는 반면 공급이 늘어나기 마련이다. 특히 정보통신 신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게 되면서 이런 양상이 하나의 추세로 굳어지고 있다.
|
이종우의 흐름읽기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