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 동북아 금융허브 조성 특화전략 밝혀 정부가 외환자유화 시기를 대폭 앞당기기로 한데 이어, 앞으로 10년안에 세계 50대 자산운용사 가운데 20개를 국내에 유치하기로 하는 등 동북아 금융허브를 향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중국 등 경쟁국과의 금융허브 선점 경쟁에 남은 시간이 많지 않았지만 풀어야할 과제는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6일 정부는 오는 2015년까지 ‘동북아 금융허브’를 만들겠다는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왜 금융허브인가=금융허브 전략은 지난 2003년 12월 대통령 주재 국정과제회의에서 처음 제시됐다. 지금처럼 낙후된 금융산업 구조로는 변화하는 21세기에 대처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홍콩과 싱가포르가 아시아권 금융허브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동북아권에서는 아직 시장 개척 여지가 남아 있고, 이들과 견줘 특화된 분야의 금융허브를 도입할 경우 승산이 있다는 게 정부쪽 설명이다. 하지만 시간은 많지 않다. 경쟁 상대인 중국 상하이가 이미 지난 1990년대 초반부터 동북아의 금융허브를 선언하고 차곡차곡 기반을 다져가고 있는 중이다. 임승태 재정경제부 금융정책심의관은 “중국의 개방 속도를 볼 때 상하이의 금융허브화가 예사롭지 않다”며 “중국 금융시장 완전 개방 이전에 대내외적으로 한국의 금융허브 추진 사실을 확고히 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필요가 커졌다”고 말했다. 3개 시장, 3개 업종에 집중= 사실상 금융허브 청사진으로 볼 수 있는 이번 계획은 선도 시장과 선도 업종에 집중해, 자산운용과 구조조정 분야에 특화된 금융허브를 만든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자금 결제기능에 특화된 홍콩과 외환시장에 특화된 싱가포르에 견줘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자산운용업과 구조조정 분야에 강점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중국 상하이의 경우 아직 금융개방이 진행중이어서 특화된 분야를 추구하기 보다는 국제금융시장 전반을 아우르는 방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우선 국내 금융시장 가운데 채권시장과 구조조정시장, 파생상품시장 등 3대 시장을 중점 육성하기로 했다. 채권시장 규모가 일본·중국에 이어 아시아 3위지만 외국인 비중이 1%도 안돼 잠재력이 크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구조조정시장도 외환위기 때 쌓은 실력과 기반시설로 볼 때 아시아 어느 나라보다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분석돼, 앞으로 중국 등 부실채권시장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는 이런 청사진 아래 자산운용업과 투자은행, 사모펀드 등 3개 업종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의 청사진이 그대로 추진되기까지는 넘어야할 산이 한둘이 아니다. 금융허브를 위한 외환거래 자유화 수준이나 채권시장의 수준이 선진국에 한참 뒤떨어져 있고, 증권업 등 국내 금융업계의 대폭적인 구조조정도 쉽지 않은 난제로 남아 있다. 조성곤 기자 csk@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