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7.25 20:22 수정 : 2013.07.25 21:04

현대증권

현대증권, 싱가포르 법인 개설
미래에셋 등도 국외상품 발굴

요즘 서울 여의도에 몰려 있는 증권사들은 깊은 시름에 잠겨 있다. 증시 침체로 투자 심리는 얼어붙고 거래중개 수익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탓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채권 금리가 오르면서 채권 투자에 공을 들였던 업체들은 손실을 피해갈 수 없게 됐다. 위기에 직면한 증권사들이 최근 돌파구로 택한 것은 국외 사업 확대를 통한 수익 다변화 전략이다.

현대증권(사진)은 지난 주 싱가포르에 현지법인을 개설했다. 이 법인은 현대증권 홍콩 법인의 100% 자회사로, 퀀트(금융공학) 전략 중심의 헤지펀드 자산운용사와 금융파생상품 투자를 담당하는 트레이딩 전문법인으로 분리해 설립했다. 헤지펀드 자산운용사는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 등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투자를 받아, 3년 내 운용자산 10억달러, 연간 수수료 수입 4000만달러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윤경은 현대증권 사장은 “국내 시장의 한계에서 벗어나 홍콩과 싱가포르 등 지역에 적극 투자해 신규 수익사업을 확충할 계획이다. 현재 1% 이하인 해외 수익 비중을 2015년 5%, 2020년 10%까지 늘리겠다”고 말했다.

앞서 케이디비(KDB)대우증권은 지난 4월 인도네시아 최대 온라인 증권사인 이트레이딩증권을 인수했다. 인도네시아 우량 기업들을 상대로 기업금융 영업을 하고 한국 기업한테는 인도네시아 기업 인수·합병(M&A) 자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자산관리형 상품에 강점이 있는 미래에셋증권은 글로벌 네트워크 간 협력을 통해 국외시장 상품을 발굴해 국내 투자자들에게 선보이고 있다. 정부의 우리금융 민영화 계획에 따라 매물로 나온 우리투자증권은 최근 조직 개편을 통해 글로벌본부로 편제돼 있는 국외 사업들을 연관성이 있는 각 사업부가 전담해 시너지를 내도록 했다.

홍대선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