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4.01.29 18:00
수정 : 2014.01.29 20:55
카드사태 TM제한 5만명 고용 불안
금감원, 금융사 부당해고 단속나서
금융당국이 금융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단행한 금융회사 텔레마케팅(TM) 영업 제한 조처가 새로운 논란을 낳고 있다. 영업 제한 조처가 끝나는 3월 말까지 해당 인력들의 고용 불안 문제라는 새로운 복병을 만났기 때문이다. 금융권 텔레마케터는 5만명으로 추산된다.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28일 긴급 임원회의를 소집한 자리에서 “텔레마케터들의 고용불안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가용 인력을 총동원해 금융사가 해고 등 부당한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단속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대해 박세춘 금감원 부원장보(은행·중소서민금융 검사 담당)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아직까지 텔레마케터 해고를 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럴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금감원이 선제적 대응에 나선 것”이라며 최 원장의 발언을 풀이했다.
금융회사들의 텔레마케터 영업 제한은 오는 3월 말까지다. 이 조처는 최근 3개 신용카드사에서 발생한 1억여건의 개인정보 유출을 계기로 보이스피싱 등 각종 금융사기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금융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증폭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행됐다. 이같은 조처는 동시에 텔레마케터들의 생존 기반을 흔드는 결과를 낳고 있다. 전화 영업을 못하게 된만큼 앞으로 두 달 동안은 손을 놓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은 보수 체계가 계약 한 건당 얼마 씩으로 철저한 실적에 기반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임금 하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재 텔레마케터 규모를 보면 은행권은 각 은행당 500~1000명 수준으로 적은 편이고, 은행권에 견줘 지점 수 등 영업기반이 약한 보험사와 신용카드사, 저축은행들은 각 회사별 2000명 안팎의 텔레마케터를 운용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권 전체 텔레마케터 규모는 5만명 수준”이라고 말했다. 박세춘 부원장보는 “금감원의 메시지는 두 달 동안 텔레마케터의 고용불안 문제를 금융사가 최대한 품고 가라는 것”이라며 “그동안 하지 못했던 사내 교육이나 연수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