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4.04.16 20:19 수정 : 2014.04.16 22:35

‘북한개발’ ‘통일금융’ 연구센터 등
정책금융기관 조직 신설 잇따라
‘통일금융상품’ ‘통일코리아 펀드’
민간 금융기관들도 화두로

녹색금융협의회는 2년째 중단
녹색상품 출시도 거의 없어
“시장 왜곡·부실 이어질 수도”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은 대박이다’ 발언 뒤 금융권에 때아닌 ‘통일금융’ 바람이 불고 있다. 반면 이명박 대통령 시절 추진했던 ‘녹색금융’ 관련 움직임은 자취를 감췄다.

수출입은행은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북한개발연구센터’ 개소식을 열었다. 박근혜 정부의 통일 구상을 뒷받침하고 북한 개발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싱크탱크로 조동호 이화여대 교수(북한학과)가 초대 소장을 맡았다. 수은은 1991년부터 남북협력기금을 운영해왔지만 센터를 개설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덕훈 행장은 “통일 단계별 수은의 역할을 마련하고 북한개발을 통한 통일비용 감축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케이디비(KDB)산업은행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홍기택 산은 회장은 지난 1일 창립 60주년을 맞은 기념사에서 “대통령 언급처럼 ‘서독이 동독을 너무 몰랐다’는 얘기를 새겨들어야 할 것이다. 북한경제와 산업현황은 물론 독일 통일 과정에서 금융이 수행했던 역할을 조사·분석해 통일 뒤 북한 산업 구조조정 등은 산은이 주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은은 조사분석부 국제경제팀 내에 동북아경제파트를 신설해 북한 관련 연구에 착수했다.

금융연구원도 지난 1일 ‘통일금융연구센터’를 출범했다. 한국은행에도 관련 부서가 신설될 예정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2일 통일과 관련한 화폐 및 경제 통합 문제를 연구하는 전담부서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정책금융기관들 뿐 아니라 민간 금융기관들 사이에서도 ‘통일금융’이 화두로 떠올랐다. 우리은행은 ‘기부형 통일금융상품’을 오는 5월 출시할 예정이다. 통일금융 통장, 적금, 카드 등을 출시해 우대 금리와 포인트 가운데 일부를 대북지원 사업을 위해 자동 기부하게 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기부 이체를 할 때 은행거래 수수료를 면제하고, 대북지원사업을 추진할 때 명의기부 등을 통해 참여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우리은행은 덧붙였다.

신영자산운용은 지난달 13일부터 ‘신영 마라톤 통일코리아 펀드’를 판매하고 있다. 통일 과정에서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되나 저평가된 사회간접자본(SOC), 에너지, 식료품 등과 관련된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한달 사이 133억원을 돌파했다. 허남권 신영자산운용 부사장은 “실제 통일이 언제될지 아무도 알 수 없지만, 남북한 경제 간극을 좁혀야 하고 그 과정에서 경제협력이 계속 추진될 텐데 그 혜택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볼 가능성이 높은 점에서 착안했다”고 밝혔다.

반면 이명박 정부때 추진된 ‘녹색금융’은 흐지부지된 상태다. 2009년 4월 각 은행, 증권, 보험 등 전 영역의 금융사들이 모여 ‘녹색금융협의회’까지 만들었지만 엠비 정부 말기인 2012년 4월 마지막 회의를 연 뒤 활동이 사실상 중단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서 녹색 관련 기업들이 잘 안되고 대출이 많이 부실화했다. 금융기관들 관심에서 멀어져 2012년께부터 신상품 출시도 뜸해진 상태로, 전반적으로 녹색금융은 잘 안 됐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 출범 초기에는 ‘창조경제’ 키워드가 주목을 받자, 금융권에서 ‘창조금융’을 앞세운 바 있다. 지난해 3월 케이비(KB)국민은행은 은행장 직속으로 ‘창조금융추진위원회’를 신설했지만 현재 없어진 상태다. 국민은행 관계자는“위원회는 없어졌지만 관련 기능은 해당 부서에서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권 잇따른 통일금융 움직임에 대해 윤석헌 숭실대 교수(금융학부)는 “금융에서 정부 주도의 움직임이 시작되면 돈과 인력의 쏠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업무 중복 문제는 물론 시장의 왜곡과 부실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송경화 기자 freehwa@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