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4.06.12 10:06 수정 : 2014.06.12 10:06

사퇴 압박 거세질듯

 지난 4월 중징계를 받은 바 있는 김종준 하나은행장이 다음달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또 징계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추가 제재가 확정되면 금융당국의 사퇴압박도 한층 거세질 전망이다.

 11일 금융감독원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다음달 10일 혹은 24일 열릴 제재 심의위원회에서 하나은행 종합검사와 케이티 이엔에스(KT ENS) 관련 부실대출 및 불완전판매에 대한 제재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하나은행 종합 검사 결과에 대해서는 행장의 책임을 물을만한 내용이 나오지 않았지만 케이티 이엔에스 관련한 검사에선 행장까지 책임 소지가 있는 정황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소한 ‘주의적 경고’ 등의 징계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하나은행은 케이티의 자회사인 케이티 이엔에스의 협력업체의 대출사기에 걸려들어 1600억원 가량의 피해를 봤다. 이에 대해 은행 경영진도 책임을 비켜가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만일 다음달 제재심의에서 김 행장에 대한 경징계가 확정될 경우, 사실상 금융권에서 퇴출당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미 4월17일 김 행장은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에서 그가 사장을 지낸 하나캐피탈의 저축은행 부당 지원과 관련해 ‘문책 경고’의 중징계를 받은 바 있다. 문책 경고 제재를 받은 은행 임원은 현 임기를 마친 뒤 3년 간 금융권 재취업이 제한된다. 당시 금감원이 김 행장의 제재 내용을 조기에 공개하면서 자진사퇴 압박을 가했으나, 김 행장은 ‘버티기’로 일관해왔다. 하지만 재차 징계를 받게될 경우, 은행 조직을 이끄는 데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