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1.29 19:52 수정 : 2015.01.29 19:52

KB금융 새해 신뢰회복·현장경영 역점

케이비(KB)금융그룹은 윤종규 회장 취임과 함께 2015년 목표를 고객신뢰회복, 현장중심경영, 성장동력 강화, 차별적경쟁력 강화 등에 맞춰놓고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고객신뢰회복을 위해서 온·오프라인 어느 곳에서든 불편 없이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게 하기 위한 최적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선 현장의 책임과 권한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현장중심 경영을 추진하고, 성장동력강화를 위해서 자산관리, 중소기업 종합금융, 투자은행 등 부문에서 수익기회를 창출하기로 했다. 비가격 부분의 차별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저금리, 저성장,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맞는 전문 상담 능력을 키워갈 계획도 가지고 있다.


우량주 발굴 ‘대신 자오상 후강통 랩’

대신증권은 후강통(상해A주) 종목 가운데 중국 정부정책과 시장흐름에 견줘 저평가된 고배당주, 내수소비 우량주에 집중 투자하는 일임형 랩 상품인 ‘대신[Balance]자오상 후강통 랩’을 판매하고 있다. 중국 현지 증권사인 자오상 증권의 현지자문을 바탕으로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대신경제연구소가 함께 15개 내외의 우량종목을 발굴해 집중 투자한다. ‘인구 정책’, ‘도시화’, ‘소비’, ‘환경’이라는 중국의 4대 신성장동력 축에 맞춰 자오상 증권이 현지에서 리서치 및 탐방을 통해 의견을 제시하면, 대신증권에서 분석 및 검증을 통해 종목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최소가입금액은 2000만원이고, 수수료는 분기별 평균 잔액에 대해 2.5%씩 후취한다.


‘TIGER차이나A300 ETF’ 높은 수익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중국 본토 주식 대표지수인 CSI300을 따르는 ‘미래에셋미래에셋TIGER차이나A300 ETF’를 운용하고 있다. 이 상장지수펀드(ETF)의 3개월 수익률은 50.99%, 1년 수익률은 53.34%로 장·단기 수익률 모두 높은 편이다. CSI3000지수는 상해거래소 및 심천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 시가총액, 유동성, 거래량, 재무현황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 300종목으로 구성된 중국 대표 지수로 후강퉁 시행 등으로 중국시장에 자금이 쏠리며 지난 한 해 50%가까이 올랐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이 밖에도 중국 내수성장 수혜주에 투자하는 ‘미래에셋TIGER중국소비테마 ETF’, 세계 최초 중국 본토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인 ‘TIGER차이나A레버리지 ETF’ 등을 운용하고 있다.


중국 하나·외환 통합법인 첫상품 출시

하나은행의 중국법인인 중국하나은행유한공사가 중국 외환은행과의 통합을 기념해 새로운 상품들을 내놨다. ‘(fa)’카드와 ‘하나168적금’이다. ‘(fa)’카드는 크게 부유해진다는 의미의 중국어 를 카드이름으로 사용한 카드로 중국인 고객들이 한국 방문 때 이 카드로 화장품, 면세점, 미용, 의료관광 등을 이용하면 우대혜택과 함께 카드사용 금액에 따라 수수료의 최고 100%까지 캐쉬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8888개 한정판 fa카드의 자는 실제 금으로 만들기도 했다. 하나168 적금은 ‘168’시리즈의 대표 적금상품으로 카드사용 등 추가 거래 때 금리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하나은행중국유한공사는 이들 상품을 홍보하기 위해 지난 8일 대대적인 가두 캠페인을 벌였다.


현대카드, 영국 매력 알리는 전시회

현대카드는 20일부터 서울 청담동 트래블라이브러리에서 영국대사관, 영국문화원과 함께 영국을 구성하는 4개 지역의 매력을 전하는 ‘UK Special: Discover Great Britain’전(展)을 열고있다. 역사·문화유산, 예술·건축, 스포츠, 식음료 등의 주제를 놓고 영국대사관 추천도서와 전시물들을 통해 새로운 영국의 매력을 선보일 계획이다. 두 차례에 걸쳐 영국 전문가와 함께 영국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오픈 클래스(open class)도 열린다. 영국 각지의 축제 정보를 담은 안내책자가 제공되고, 영국 여행 경로를 대형화면에 표시된 구글어스 맵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체험기회도 얻을 수 있다. 현대카드 회원 본인과 동반한 2명까지 입장할 수 있다. 전시는 3월1일까지 이어진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