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고객 잡기’ 점포 변신
체감 대기시간 줄이려 커피숍 두거나
대학 인근지점엔 스터디 공간 마련
카카오 캐릭터 꾸며 호기심 유도도
2010년대초 IT점포처럼 1회성 우려
‘고객 만족은 곧 창구 대기시간 단축이다.’
1990년 초·중반까지만 해도 시중은행들은 이런 구호를 내걸고 ‘1분 싸움’을 벌였다. 공과금 납부부터 입·출금 등 모든 은행 업무가 창구에서 이뤄지던 때였다. “아무리 좋은 금융상품을 개발해도 고객을 오래 기다리게 하면 허사”라는 말이 통용될 때라 대기시간 단축은 은행 영업의 핵심이었다. 소매금융의 강자였던 케이비(KB)국민은행마저도 1993년 상반기엔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설치된 점포가 15곳에 그치던 시기였다.
그러다 보니 은행들은 혼잡을 줄이기 위해 창구를 최대한 벽 쪽에 붙여 소비자들이 대기하는 공간을 늘리는 등 온갖 노력을 기울였다. 1994년 당시 조흥은행(현 신한은행으로 통합)은 어느 요일, 어떤 시간에 점포가 가장 붐비는지를 조사한 ‘내점 고객 지수’를 만들어 지점 안에 걸어두고 소비자들이 혼잡한 시간을 피할 수 있게 했고, 평화은행(현 우리은행으로 통합)은 각종 전표 양식을 통합해 이를 분류하는 시간이라도 줄여보려 했다. 인터넷·모바일 뱅킹까지 등장해 은행 거래의 대부분이 창구 밖에서 이뤄지는 지금은 볼 수 없는 풍경이다.
최근에는 갈수록 방문객이 줄면서 예전과 정반대로 남아도는 공간이 골칫거리가 됐다. 그래서 은행들은 젊은층을 사로잡고,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한 거점으로 점포를 변신시키는 등 새로운 형식의 지점을 만드는 실험에 나서고 있다.
|
우리은행 ‘카페 인 브랜치’
|
|
국민은행 ‘락스타’
|
|
하나은행 서울 서교동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