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04.09 17:17
수정 : 2017.04.10 09:52
|
지난 주말 미-중 정상이 무역 불균형 축소를 위한 ‘100일 계획’ 마련에 합의하면서, 중국과 더불어 한국도 환율조작국에 지정될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모습. AP/ 연합뉴스
|
미 재무부 환율보고서 15일 발표
미-중 정상회담서 무역갈등 완화로
이번주 원-달러 환율 상승 재료 작용
|
지난 주말 미-중 정상이 무역 불균형 축소를 위한 ‘100일 계획’ 마련에 합의하면서, 중국과 더불어 한국도 환율조작국에 지정될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모습. AP/ 연합뉴스
|
미-중 정상이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100일 계획'에 합의하면서 오는 14일(현지시각) 발표될 미국 재무부의 환율보고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과 더불어 한국도 환율조작국(심층분석 대상국)에 지정될 가능성이 좀 더 낮아졌다고 본다. ‘100일 계획’의 세부 내용이 알려지지 않아 단정할 수는 없지만, 미국의 무역적자 축소를 위한 두 나라의 협력으로 무역 갈등이 수그러드는 국면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세계 교역과 금융시장에도 일단 훈풍이 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한국은 지난해 10월 미 재무부에 의해 중국·일본·독일 등과 함께 환율조작국 전 단계인 ‘관찰대상국’으로 분류됐다. 중국은 환율조작국 지정 요건인 대미 무역흑자 200억달러 초과만 해당됐지만, 한국은 경상흑자의 국내총생산(GDP) 3% 초과 등 2개 항목에 해당됐다. 외환 순매수액의 지디피 2% 초과 항목에는 해당되지 않아 환율조작국에는 지정되지 않았다. 하지만 미국의 지정 기준이 자의적인데다 요건 변경 가능성도 제기돼 긴장의 끈을 풀 수는 없는 상황이었다.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원-달러 환율은 상승(원화 가치 약세) 흐름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우려가 원화 강세 압력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지난 5일 공개된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미 연방준비제도 위원들이 그동안 사들인 자산의 재투자 중단 필요성을 주장한 것도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시리아 공격 등으로 안전자산에 자금이 몰리면서 나흘 새 달러당 19.2원이나 올랐다.
한광덕 기자
kdha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