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리3-1
|
[헤리리뷰] 동아시아기업의 지속가능경영
Special Report 성과분석
삼성전자, 도요타 그리고 바오산철강…. 한 해 매출만 수십조 원은 족히 올리는, 한·중·일 세 나라의 내로라하는 대표기업들이다. 그럼 지속가능경영이라는 잣대로 쟀을 경우, 세 나라 대표업종의 대표기업들이 이처럼 엄청난 매출을 거두기 위해 치르는 ‘기회비용’ 규모는 과연 얼마나 될까? 이런 ‘색다른’ 궁금증을 풀기 위해 한겨레경제연구소는 세 나라의 대표기업 7곳을 추린 다음, 이들 기업이 펴낸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분석해 우리 돈으로 환산한 매출액 10억원당(2006년 기준) 환경 훼손 규모를 추산해 봤다. 우리가 얻는 것과 잃는 것을 얼추 가늠해 볼 수 있지 않을까?
무엇보다 우리 생활과 밀접한 자동차를 예로 들어보자. 자동차공장 ‘안’을 들여다보니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2006년 한 해 동안 현대자동차가 생산해 낸 자동차는 모두 267만410대, 매출액은 27조3354억원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선 175만9천톤의 이산화탄소가 덩달아 쏟아져 나왔다. 그것도 1685만2천톤의 물을 빨아들이고서 말이다. 차 1대를 만들어낼 때마다, 그리고 매출액 10억원을 올릴 때마다 각각 0.66톤, 64.4톤의 오염물질을 쏟아낸 셈이다.
여기서 잠깐 국립산림과학원이 발표하는 ‘탄소중립 표준공식’을 떠올려 보자. 오염된 공기를 되돌리기 위해 얼마나 많은 나무가 필요한지를 따져 오염 정도를 가늠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 공식에 따르면, 공기중에 배출된 이산화탄소 1톤을 없애기 위해선 한 해 동안 360그루(30년생 잣나무 기준)의 나무가 단 하루도 거르지 않고 신선한 산소를 뿜어내야 한다. 결국 우리나라의 대표주자 현대차는 238그루의 나무를 대가로 차 1대를, 2만3184그루의 나무를 대가로 매출액 10억원을 손에 쥐었다는 계산이 나온다.
|
헤리3
|
한국과 일본 가전업종의 선두주자인 삼성전자와 소니의 비교에선 소니가 앞섰다. 삼성전자는 소니에 견줘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3배, 물 사용량은 2배, 폐기물 배출량은 1.6배나 많았다. 이는 소니와 달리, 삼성전자의 사업 모델이 순수 가전뿐 아니라 반도체·엘시디(LCD) 분야까지 아우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자동차업종에서도 현대차에 견줘 도요타의 우세가 두드러졌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유럽 ‘한발짝’ 앞서가고 아시아는 ‘추격중’ 세계 자동차업체 성과 비교해보니 현대차 조사대상 10곳 중 5위
|
헤리3-2
|
지속가능경영 분석 어떻게 진행했나 한겨레경제연구소는 한·중·일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분석을 크게 ‘투명성’과 ‘성과’ 2가지 측면으로 나눠 진행했다. 우선 ‘투명성’에 관한 분석 작업은 GRI에서 발표한 ‘G3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삼아 이 가이드라인에 담긴 핵심지표 49개가 요구하는 정보를 분석 대상 기업이 얼마만큼 공개했는지를 따지는 것이다. 각 영역별로 정보공개 여부를 확인한 뒤, 이를 만점(100)을 기준으로 환산해 정보공시율을 구했다. ‘성과’ 분석은 실제로 공개된 기업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의 기초가 되는 자료 수집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표준인 GRI가이드라인이 권고하는 자료를 일차적인 기준으로 삼았다. 또 기존의 연구가 주로 대상 기업에 대한 평판 조사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과는 달리, 이번 분석 작업은 각 기업이 발표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원자료로 삼아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동시에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해 12월 예비조사 작업을 시작으로 6개월 동안 이뤄졌으며, 마지막으로 한·중·일 대표 기업과 각 나라의 관련 기관을 직접 방문해 지속가능경영 분야 담당자를 인터뷰함으로써 질적 분석과 검증 작업을 거쳤다. 김진경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원 realmirror@hani.co.kr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