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8.29 15:10 수정 : 2008.08.29 15:10

왼쪽부터 빌 드레이턴, 다니엘 루베츠키, 데이비드 그린

[헤리 리뷰]

세계의 사회적 기업가들

늘상 깔끔하게 면도한 얼굴의 비즈니스맨이 세상을 바꾸겠노라며 사회적 기업가로 다시 태어나기까지의 세월은 짧은 여름휴가만으로 족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아시아지역 마케팅 총괄 책임자로 있던 존 우드(John Wood)의 인생은 지난 1998년 네팔에서 보낸 여름휴가 이후 완전히 바뀌었다. 휴가 기간 중 우연히 히말라야 산골 마을을 찾았다가 고작 몇 권의 책밖에 없는데도 그나마 자물쇠로 채워진 ‘도서관’을 지켜본 우드는 이듬해 지구촌의 빈민지역에 도서관을 만들어주는 비영리 사회적 기업 ‘룸투리드’(Room to Read)를 세웠다. 그가 이끄는 ‘도서관 제국’은 지금까지 전 세계 3870개 도서관으로 늘어났고, 그 생생한 과정은 그가 손수 써내려간 <마이크로소프트를 떠나 세상을 바꾸다>에 꼼꼼하게 기록돼 있다. 미국의 경제지 <패스트컴퍼니>는 지난 2004년 이후 3년 내리 그에게 ‘사회적 자본주의자 상’의 영예를 안겨주기도 했다.

사회적 기업가야말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적 방안을 누구보다 앞서 제시해온 ‘해결사’들이기에, 지구촌 어디나 사회 문제가 있는 곳엔 늘상 사회적 기업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전 세계 사회적 기업의 거미줄을 엮어내는 거미.’ 흔히 사회적 기업의 대부라 불리는 빌 드레이턴(Bill Drayton)을 일컫는 말이다. 지난 1980년 대중을 위한 혁신가를 자임하며 아쇼카(Ashoka)라는 이름의 글로벌 비영리기관을 창립한 드레이턴은, 당시만 해도 시민단체 활동가들이나 영리기업 경영자들 양쪽으로부터 의심의 눈초리를 받아가면서도 ‘사회적 기업가’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

이후 드레이턴의 후예들은 곳곳에서 값진 성과를 일궈왔다. 지난 2002년 세계은행으로부터 ‘발전·시장 혁신상’을 받은 데이비드 그린(David Green)도 그 중의 하나다. 다국적 기업들이 인공수정체를 300달러에 파는 것을 지켜본 그는 은퇴한 과학자와 안과의사들을 끌어들여 값싸고도 품질 좋은 제품을 개발해 가난한 소비자에게 다가섰다.

특히 최근에는 영리기업에 뿌리를 둔 각종 재단들마저 앞다퉈 사회적 기업가를 후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열심이다. 대표적으로 이베이 창립자인 제프 스콜이 설립한 스콜재단(www.skollfoundation.org)과 다보스포럼의 창시자 클라우스 슈왑 세계경제포럼 회장이 설립한 슈왑재단(www.schwabfound.org)을 들 수 있다. 이들 재단은 성공적인 사회적 기업 모델을 확산시키는 방법으로, ‘올해의 사회적 기업가상’을 선정해 시상하기도 한다. 올해 스콜재단이 선정한 사회적 기업가상 수상자인 다니엘 루베츠키(Daniel Lubetzky)는 이스라엘과 아랍권 국가 사이의 합자회사를 운영하면서 피스워크(PeaceWork)재단을 만들어 중동지역 평화에 힘을 쏟고 있다. 특히 피스워크는 ‘KIND’란 이름의 건강스낵을 만들어 전 세계 1만여개 네트워크 매장을 통해 판매하는데, 판매수익의 5%를 기부받아 저소득층 지원사업에 쓰고 있다.

박상유 한겨레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whyaskwhy@naver.com

※ 도움이 될 만한 책
<보노보 혁명> (유병선 지음, 부키, 2007)
<한국의 사회적 기업> (정선희 지음, 다우, 2005)



사회적 기업, MBA에서는 이미 ‘주인공’

사회적 기업 관련 과정을 개설한 주요 MBA
사회적 기업이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 잡으면서, 각국의 주요 MBA 과정에도 속속 사회적 기업 관련 과목이 생겨나고 있다.

‘Social Enterprise’ 과목을 앞다퉈 개설하는 미국 MBA의 움직임이 대표적이다. 듀크대 경영대학은 정규 MBA 과정의 12개 전공 가운데 하나로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개설하고 있다. 특히 비영리기관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미국의 대표적 금융기관인 와코비아(Wachovia) 산하 재단에서 주는 장학금을 받을 수도 있다. 지원 자격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사람이어야 하며, 지금까지 합격자 평균 직장 근무 경력은 5.5년이다.

버클리대학의 하스스쿨도 사회적 책임, 비영리와 공공경영 등을 정규 MBA 과정의 전공으로 가르친다. 사회적 책임 분야에서는 기업윤리, 사회적 기업가 정신, 환경경영 등의 과목이 개설돼 있고, 비영리와 공공경영 분야에서는 국제기구 및 정부의 리더를 키우기 위한 교육 과정이 주를 이룬다.

콜롬비아대학의 MBA 과정에서도 Social Enterprise란 이름의 전공을 찾아볼 수 있다. 정규 과정 이외에 사회적 기업과 비영리기관에서 인턴십 과정을 이수하기도 한다. 콜롬비아대학에서 진행하는 사회적 기업 컨퍼런스 참가 자격 부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다.

사회적 기업의 역사가 오래된 영국에서도 주요 대학들이 관련 과정을 활발하게 개설하고 있다. 학위 과정에 Social Enterprise라는 명칭이 붙어 있는 경우로는 캠브리지대학과 리버풀대학이 대표적이다. 캠브리지대학의 경우 Master of Studies in Social Enterprise and Community Development 과정을 두고 있는데, 모집 정원은 최대 25명이다. 수업은 2년간 이뤄지며, 첫 해에는 모두 5과목을 수강하고 둘째 해에 논문을 작성한다.

리버풀 비즈니스 스쿨은 사회적 기업 경영 MA 과정을 두고 있다. 모두 3년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주목할 만한 것은 현장을 중심으로 모든 평가가 이뤄지도록 파트타임으로 설계돼 있다는 점이다. 학생들은 기업 관리와 마케팅, 전략경영, 인적자원 관리, 연구 방법론, 사회 감시론, 그리고 재무 등 사회적 기업에게 요구되는 모든 관리 기능을 배운다.

김지예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원 minning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