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정마을 주민이 폐식용유를 활용한 바이오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콤바인으로 유기농 벼를 수확하고 있다. ‘주산을 사랑하는 사람들’ 제공
|
[헤리리뷰] 녹색생활
전북 부안 화정마을의 저탄소생활
햇빛·바람으로 전기 생산다 쓴 식용유는 바이오디젤로 “석유 없이 농사짓는 저탄소 마을입니다.” 친환경 에너지 자립을 차곡차곡 실행에 옮기는 한 시골 동네가 주목을 받고 있다. 전북 부안군 주산면 갈촌리 화정마을이다. 45가구 80여명의 주민들은 저탄소 마을 만들기에 한마음이 되었다. 마을회관에 태양광발전기와 풍력발전기가 있어 소량이지만 생활전력으로 활용한다. 직접 경작한 유채의 씨를 짜서 식용기름을 만들고, 유기농을 고집해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마을 사람들은 집집마다 쓰고 남은 폐식용유를 모아 바이오디젤 연료를 만든다. 메탄올 및 수산화나트륨(양잿물) 등의 화학물질과 섞은 뒤 글리세린을 제외하는 방식으로 제조한다. 화정마을 사람들은 이렇게 만든 바이오디젤 연료를 경유 대신 경운기, 콤바인, 트랙터 등에 사용한다. ‘주산을 사랑하는 사람들’ 모임의 김인택(47) 사무국장은 “법으로 통제를 하기 때문에 우선은 실험적으로만 사용하는데 농기계들이 고장 없이 잘 굴러간다”고 말했다. 폐식용유는 마을회관 보일러에도 일부 사용하고, 재생비누로도 활용한다. 두부처럼 비누 조각을 만들어 쓴다. 아직도 시골에서는 손빨래를 많이 하는데, 세제 대신 이 비누를 활용한다. 화정마을에는 유채가 많다. 이모작용으로 보리나 밀 대신 유채를 심기 때문이다. 유채는 보리처럼 겨울을 난다. 올해에는 13만㎡에 유채를 심어 내년 6월 초순에 거둘 예정이다. 3.3㎡에서 유채씨 650g이 나오고, 씨의 약 35%가 유채기름이다. 지난해 6월에는 650㎏을 거뒀다. 그 40배 이상을 올가을에 심었으니 내년에는 2만6000㎏을 거둘 것이다.
|
전북 부안군 주산면 갈촌리 화정마을 주민들이 지난 4월 시민단체와 함께 유채꽃 축제를 열었다. ‘주산을 사랑하는 사람들’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