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12.16 14:22 수정 : 2009.12.16 14:22

한국전력은 부패척결과 투명경영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실시된 윤리경영 선포식 모습. 한국전력 제공

[헤리리뷰] Special Report
거버넌스영역 최우수상 |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공사(한전)는 거버넌스와 부패 척결을 위한 투명한 경영 노력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한전의 거버넌스는 법적 요건에 따라 이사회 의장(이종훈 의장)과 최고경영자(김쌍수 사장)로 분리되어 있고, 독립적인 비상근 이사의 비율이 전체 이사진의 33% 이상을 차지한다.

한국전력공사
한전이 주력해온 분야는 투명경영과 부패척결이다. 지난해 김쌍수 사장이 취임한 이후 ‘투명경영 정착을 위한 중단없는 반부패 추진’이란 슬로건을 내걸었다. 올해 3월에는 직급별로 자율적으로 재산 내역을 등록하게 하는 한편, 청렴한 생활을 실천하겠다는 서약서를 받기도 했다. 부패척결을 위해서는 내부고발이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4월에는 부패신고 보상금을 종전 5000만원에서 20억원으로 파격적으로 올렸다. 또한 신고자에 대해서는 외부에 신원이 드러나지 않게 하는 자체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한전은 이와 별도로 ‘반부패 청렴성과 우수사업소’를 선정해 별도로 포상을 하는데, 올해는 7개 사업소에 1100만원씩 단체 포상금을 지급하기도 했다. 3월부터는 공공기관 가운데 처음으로 ‘청렴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해서 청렴도가 인사평가에 반영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투명한 경영 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한 청렴한 직원들이 다양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것이다.

한전은 자체 감사가 강도 높기로 유명한데, 올해 1월 이후 9월까지 모두 일곱 차례의 감사를 실시할 정도로 내부정화에 힘을 쏟고 있다. 감사를 추진하는 주체는 청렴 태스크포스(TF)로, 팀장이 감사를 맡고 있다.

이런 노력 덕분에 해마다 10명 이상씩 적발되던 ‘부패 공직자’가 올해는 3명으로 줄었다. 부패 공직자는 ‘부패 방지 및 권익위원회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정의하는 부패행위로 징계나 당연퇴직 등의 처분을 받은 이를 말한다.

한전은 그간에도 청렴도 평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평가를 받아왔다. 2002~2003년엔 최하위 수준이었지만 그간 꾸준히 정화 노력을 기울여 2004년, 2007년과 2008년에 1위를 차지하는 큰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한전 관계자는 “청렴도 최우수 기관으로 계속 선정되고 있지만 대외기관으로부터 최근에도 비리로 적발된 사례가 있었고, 청렴 성과가 어느 정도 달성되자 조직 내 긴장이 이완되고 피로감이 나타나기도 한다”면서도 “이런 어려움을 딛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공기업으로 남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감사에 역량을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