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5.04 14:12 수정 : 2010.05.04 14:12

사회적 기업의 새모델 ‘농어촌 공동체회사’

[헤리리뷰] Special Report

농림수산식품부가 사회적 기업의 농어촌형 모델인 ‘농어촌 공동체회사’를 육성한다.

농어촌 주민이나 귀농귀촌 인력이 다양한 사회적 기업이나 커뮤니티 비즈니스 형태로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수익사업을 벌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농어촌의 인적·물적 자산을 활용해 소득을 창출하는 공동체회사를 발전시키고, 이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생활서비스 환경을 확충하겠다는 구상이다.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인구 유입을 확보하는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박병홍 농촌정책과장은 “마을종합개발사업과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또는 마을 사무장 운영 같은 경험의 축적으로 농촌 마을에는 조금만 보듬어주면 공동체회사로 발전할 수 있는 싹들이 이미 많이 생겨나 있다”며 “마을 단위 법인, 들녘별 공동체, 마을어업회사 등도 공동체회사로 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에는 5만5000개의 커뮤니티 비즈니스가 50조원의 시장을 떠받치고 있고,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8000여개로 3조1000억원 규모의 시장을 창출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집중 육성할 공동체회사의 구체적인 사례와 사업 분야 네 가지를 제시했다. 우선 ‘농식품산업형’으로는 10척의 문어잡이 어선을 공동체 소유의 어선 3척으로 통폐합해 관리하면서 펜션을 공동 운영하는 전남 여수의 적금마을 어업공동체를 들었다. 농장, 곤충박물관, 공예공방 등 35개의 다양한 체험장을 연계해 운영하는 충북 충주의 농촌체험연구회는 ‘도농교류형’의 모델 사례로 제시됐다.

마을 주민들이 모두 지역활동에 참여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충북 단양의 한드미 유통영농조합법인은 ‘지역개발형’ 사례로, 자원봉사 주부 등이 빵을 구워 경로당과 소년소녀 가장에게 나눠주는 전남 순천 여성문화회관의 사랑빵 사업은 ‘사회복지 서비스형’의 구체적인 사례로 소개됐다.

농식품부는 특히 귀농귀촌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전직 교사나 예술가, 사업가 경험이 있는 귀농귀촌자들이 공동체회사 활동에 많이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한 지원방안도 적극 강구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올해 홍보와 제도 정비에 주력한 뒤 내년부터 창업 상담과 전문가 컨설팅 등을 맡을 창업보육센터를 지역별로 운영하고 2015년까지는 우수한 사업체 1000개를 골라 최대 5000만원까지 활동비와 교육비 등의 필요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현대 선임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