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 리포트] 예산구조 무엇이 문제인가?|환경
국가재정은 ‘지속가능발전’을 실현할 수 있는 자원이다. 예산은 정치적 의지의 발현이다. 예산구조를 보면 한 나라가 지향하는 가치를 살필 수 있다. 여전히 경제의 양적 성장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는지, 경제성장과 환경보존, 사회통합의 균형 잡힌 발전을 지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한겨레경제연구소는 대표적인 예산·재정 전문가들과 함께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서 경제, 사회, 환경 각 분야에 대한 예산을 분석했다.우리나라 재정문제의 핵심은 ‘과도한 수요예측과 공급지향적 정책방향’이다. 국토계획부터 지방자치단체에 이르기까지 성장담론에 묶여 있다. 예를 들어 지방자치단체들이 중앙정부의 계획에 근거하여 작성한 도시기본계획에서 목표로 하는 인구는 2020년 6000만명에 이른다. 현재 인구가 5천만이 채 안되고 2018년이면 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현실에서 최소한 20%의 거품을 기준으로 각종 정책을 수립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환경정책은 또다른 차원의 문제를 안고 있다. 환경정책이 주요한 환경이슈인 자원관리, 생물다양성 보호, 기후변화 대응 등 다른 정책을 해결할 권한이 없거나 사실상 관련조차 없어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더구나 재정정책에서는 중기재정계획과 구체적 사업이 상당 부분 다르게 진행되는 문제까지 발견된다. 자연보전에 전체의 8.4%만 사용
|
아직도 3500억원에 가까운 예산이 석탄에 들어가고 있다. 더욱이 이 예산의 대부분은 광부들에 대한 지원이 아니라, 토건사업과 연탄가격 보조에 들어간다. 더구나 나머지 ‘기타’로 분류된 예산의 상당수도 기존 에너지 산업을 보조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환경정책과 예산 문제의 해결방법은 두 가지다. 첫째 환경관련 총괄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행정조직까지 통합된다면 가장 좋겠지만, 최소한 정부 차원에서 총괄기능을 수립하고 추진해 나가야 한다. 둘째, 예산구조를 이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법과 예산의 변화 없이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
정창수 좋은예산센터 부소장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