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4.12.30 10:42
수정 : 2014.12.30 10:42
일본 대기업 집단의 CSR 실태
한국과 마찬가지로 재벌 시스템이 존재하는 일본의 경우는 어떨까?
일본 대기업들은 1980년대부터 환경경영을 추진하는 등 사회책임경영(CSR) 시스템과 인프라에서 한국보다 크게 앞서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그룹마다 사회책임경영을 관리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일본 주간 경제전문지<도쿄게이자이>의 기시모토 요시히로 편집장은 전자우편 인터뷰에서 “상장 계열사 수가 많고 적음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룹 내 상장 계열사를 중심으로 완만한 협력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시모토 편집장은 아사히그룹과 도요타그룹을 서로 다른 사례로 들었다. 아사히그룹은 올해부터 계열사들이 개별적으로 이해관계자들에게 환경·사회·지배구조 등의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다. 지주사인 아사히그룹홀딩스에서 일괄적으로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사회책임경영 관련 부서도 통합했다. 반면 도요타그룹은 자동차기업인 도요타 외에 부품기업인 덴소, 다이하쓰, 아이신정기 등 여러개의 상장 계열사를 가지고 있지만, 회사마다 별도의 사회책임경영 조직을 설치하고 특색 있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기시모토 편집장은 인권이나 환경, 구매·조달, 사회공헌 등의 부문에서는 그룹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효과가 높기 때문에 함께 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히타치그룹은 2013년 인권 정책을 수립하고 비즈니스와 인권을 주제로 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2014년 3월까지 약 16만명의 히타치그룹 임직원이 수강했다. 후지쓰그룹은 3년마다 ‘환경 행동 계획’을 수립하고 그 이행 여부를 공개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친환경 제품을 개발할 때, 그룹 차원에서 통일된 친환경 제품의 정의와 세부 기준을 마련하면 전 계열사가 이 기준에 맞추어 각각의 목표치를 도달해 가는 식이다. 기시모토 편집장은 “그룹에서 사회책임경영을 추진할 경우 효율성을 높이고 활동의 중복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개별 기업의 핵심 비즈니스와 연계된 사회책임경영 특성이 가려질 위험도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양은영 한겨레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