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도시 서울’ 선언 2년, 달라진 것은?
물건, 공간, 경험, 정보 네 분야로 진행
서울시는 2012년 9월 ‘공유도시 서울’을 선언했다. 공간, 물건, 경험·지식, 정보 등 유·무형의 자원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사회적·경제적·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목표다. 그해 12월 관련 조례를 제정해 공유기업에 대한 지원 근거를 마련했고, 민관 공동으로 ‘공유촉진위원회’도 구성했다. 공유에 관한 다양한 국내외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하기 위한 ‘공유 허브’ 사이트도 구축했다. 공유 생태계를 조성하는 단계에서 이젠 본격적으로 공유 단체와 기업을 지원하는 한편, 지역사회와 자치구 등과 함께 다양한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공유 서울’ 정책은 다른 지자체뿐 아니라 국외 연구기관과 민간단체에서 진행 과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서울시가 직접 추진하거나 민간 단체·기업을 지원하는 사업은 크게 ‘물건, 공간, 지식·경험, 정보’ 등 네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물건 공유는 카셰어링(일명 나눔카), 공구 도서관, 공유 서가, 아이옷·정장 공유 등이 있다. 공간 공유는 공공시설 유휴공간, 옥상, 주차장, 룸셰어링, 도시민박, 도시텃밭 등의 사업이다. 지식·경험 공유에는 서울e-품앗이, 휴먼라이브러리, 여행, 재능 공유 등이 있고, 정보 공유에는 열린데이터광장, 서울 사진은행, 다국어 지식 공유 등이 있다.
아이옷 공유는 시작 1년만에 120% 성장
우선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주민들 간에 이뤄지고 있는 대표적인 공유사업은 공유 서가와 공구 도서관이다. 공유 서가는 개인들이 보관하고 있는 책을 이웃들과 나눠 볼 수 있는 공동 책장이다. 현재 46개가 운영중이다. 공구 도서관은 일반 가정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전동드릴, 망치, 캠핑 장비 등을 이웃과 함께 나눠 쓸 수 있는 공동창고로 43개가 운영중이다. 아이옷 공유는 단기간 입고 버려지는 아이들 옷을 공유기업(키플)과 자치구, 관내 어린이집과 함께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서비스를 시작한 지 1년 만에 120% 성장했다. 동네 주민센터 등 1000여개의 유휴공간은 주민들의 다양한 모임과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골목길 주차난 문제를 덜기 위해 7개 자치구에서 ‘거주자 우선 주차장 공유사업’을 추진중이다. 연말까지 1000개 주차면이 공유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북구의 경우 임대아파트에 남는 주차장(220면)을 주변 상가나 주택들과 공유함으로써 임대아파트 주민들의 관리비 절감 효과도 거두고 있다. 대학가 인근 지역에선 ‘한지붕 세대공감’이란 이름으로 룸셰어링 사업을 시작했다. 빈방이 있는 어르신은 대학생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방을 내주고, 이 방에 입주하는 대학생은 장보기와 말벗 등 어르신에게 필요한 도움을 준다.
내년엔 학교별 교구 등 공유도 진행 예정
|
이계열 서울시 혁신기획팀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