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4.12.30 11:05 수정 : 2014.12.30 11:05

‘공유도시 서울’ 선언 2년, 달라진 것은?

물건, 공간, 경험, 정보 네 분야로 진행

서울시는 2012년 9월 ‘공유도시 서울’을 선언했다. 공간, 물건, 경험·지식, 정보 등 유·무형의 자원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사회적·경제적·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목표다. 그해 12월 관련 조례를 제정해 공유기업에 대한 지원 근거를 마련했고, 민관 공동으로 ‘공유촉진위원회’도 구성했다. 공유에 관한 다양한 국내외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하기 위한 ‘공유 허브’ 사이트도 구축했다. 공유 생태계를 조성하는 단계에서 이젠 본격적으로 공유 단체와 기업을 지원하는 한편, 지역사회와 자치구 등과 함께 다양한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공유 서울’ 정책은 다른 지자체뿐 아니라 국외 연구기관과 민간단체에서 진행 과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서울시가 직접 추진하거나 민간 단체·기업을 지원하는 사업은 크게 ‘물건, 공간, 지식·경험, 정보’ 등 네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물건 공유는 카셰어링(일명 나눔카), 공구 도서관, 공유 서가, 아이옷·정장 공유 등이 있다. 공간 공유는 공공시설 유휴공간, 옥상, 주차장, 룸셰어링, 도시민박, 도시텃밭 등의 사업이다. 지식·경험 공유에는 서울e-품앗이, 휴먼라이브러리, 여행, 재능 공유 등이 있고, 정보 공유에는 열린데이터광장, 서울 사진은행, 다국어 지식 공유 등이 있다.

아이옷 공유는 시작 1년만에 120% 성장

우선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주민들 간에 이뤄지고 있는 대표적인 공유사업은 공유 서가와 공구 도서관이다. 공유 서가는 개인들이 보관하고 있는 책을 이웃들과 나눠 볼 수 있는 공동 책장이다. 현재 46개가 운영중이다. 공구 도서관은 일반 가정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전동드릴, 망치, 캠핑 장비 등을 이웃과 함께 나눠 쓸 수 있는 공동창고로 43개가 운영중이다. 아이옷 공유는 단기간 입고 버려지는 아이들 옷을 공유기업(키플)과 자치구, 관내 어린이집과 함께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서비스를 시작한 지 1년 만에 120% 성장했다. 동네 주민센터 등 1000여개의 유휴공간은 주민들의 다양한 모임과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골목길 주차난 문제를 덜기 위해 7개 자치구에서 ‘거주자 우선 주차장 공유사업’을 추진중이다. 연말까지 1000개 주차면이 공유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북구의 경우 임대아파트에 남는 주차장(220면)을 주변 상가나 주택들과 공유함으로써 임대아파트 주민들의 관리비 절감 효과도 거두고 있다. 대학가 인근 지역에선 ‘한지붕 세대공감’이란 이름으로 룸셰어링 사업을 시작했다. 빈방이 있는 어르신은 대학생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방을 내주고, 이 방에 입주하는 대학생은 장보기와 말벗 등 어르신에게 필요한 도움을 준다.

내년엔 학교별 교구 등 공유도 진행 예정

이계열 서울시 혁신기획팀장
‘e-품앗이’는 지역 주민들끼리 서로의 재능을 나누는 것이다. 자신의 재능과 시간을 다른 사람에게 제공한 뒤 이를 ‘공동체 화폐’로 적립했다가 자신이 필요한 때 다른 사람의 재능을 구매하는 데 쓰는 방식이다. 은평·구로 등 17곳에서 시행중인데, 지역주민들 간에 서로 돕고 화합하는 공동체 문화를 복원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지역에 대한 지식과 사랑을 브랜드화한 경우도 있다. 자기 동네를 찾은 관광객과 자신의 경험을 나누는 프로젝트다. ‘이태원에서 즐기는 세계여행’ ‘문래동 예술촌 공유여행’ 등이 그것인데, 해당 지역의 관광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내년에는 지역 단위의 학교에서도 공유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각종 학용품과 책, 악기류 등 쓰지 않는 교재·교구 등을 공유하거나, 학교 도서관과 운동장 등을 주민들에게 개방하는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