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5.13 14:29 수정 : 2009.05.13 14:29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재외국민이 오는 9월부터 아이핀((I-PIN)을 이용해 국내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과 글쓰기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주민등록증이 없는 초·중·고등학생도 아이핀 회원가입이 간편해진다.

행정안전부는 방송통신위원회,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와 함께 재외국민 및 초·중·고교생의 인터넷 이용 편의를 위한 '공공 아이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마련, 9월부터 관련 시스템을 서비스한다고 13일 밝혔다.

아이핀은 인터넷에서 주민등록번호 유출로 인한 부작용을 막기위해 만들어진 서비스로 웹사이트에 주민등록번호 대신 이용할 수 있는 사이버 신원 확인번호다.

그동안 국내 홈페이지는 본인확인을 위해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재외국민은 홈페이지 회원가입과 게시판 글쓰기가 어려웠다.

또 초·중·고교생은 공인인증서와 주민등록증 등 신원확인 수단을 갖고 있지 않아 공공 아이핀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보호자와 같이 읍면동사무소를 방문해야 하는 불편을 겪어왔다.

재외국민이 아이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공공 아이핀 센터(www.g-pin.go.kr)'에서 여권정보로 본인확인을 받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부여받아 사용하면 된다.

초·중·고교생도 '공공 아이핀 센터'에서 학생 본인과 학생 보호자의 주민등록 정보로 본인인증을 받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다.

행안부는 앞으로 장애인과 고령자가 아이핀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선할 계획이다.


이광빈 기자 lkbin@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