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리’는 일본, ‘심장’은 미국에 의존
|
게임세상 /
게임의 ‘머리’라고 할 수 있는 콘텐츠는 일본에 의지하는 경향이 높다. 일본은 온라인게임 기술력은 한국보다 한 수 아래지만, 콘텐츠 분야에선 여전히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콘텐츠가 부족한 한국 게임업체는 잘나가는 일본 콘텐츠를 가져와 온라인게임으로 개발하고 있다. ‘건담’과 ‘케로로’(사진) 등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이 한국에서 온라인게임으로 제작됐다. 이들 게임은 한·일 합작 형태로 개발됐는데, 보통 일본은 콘텐츠만 관리하고 한국이 제작 전반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개발 리스크는 한국 쪽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실제로 한 국내 개발사는 일본의 인기 비디오게임을 온라인게임으로 만들다가 일본 쪽의 일방적인 개발 중단으로 손해를 봤다. 하지만 한국형 온라인게임 콘텐츠 개발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다. ‘아마게돈’, ‘퇴마록’, ‘드래곤라자’, ‘신암행어사’ 등 한국 콘텐츠가 게임으로 개발됐지만, 대부분 흥행에 실패했다.
온라인게임의 ‘심장’으로 불리는 게임 엔진은 절대적으로 미국에 의존하고 있다. 게임 엔진은 게임의 설계도와 같다. ‘리니지2’와 ‘아이온’ 등 이름 있는 게임은 대부분 미국산 게임 엔진을 썼다. 이렇다보니 국내개발사끼리 비싼 외산 엔진을 사오기 위해 과당경쟁을 해 문제가 되기도 했다. 제작비 100억원의 대작게임은 엔진 구입비만 수십억원이 들어간다.
더욱이 외산 엔진은 외국 게임에 최적화했기 때문에 한국 온라인게임에 잘 맞지 않는다. 비싼 외산 엔진을 썼다고 흥행이 보장되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외산 엔진을 사다 쓴 총싸움게임 ‘헉슬리’는 개발비를 감당 못해 서비스가 중단됐고, ‘아바’는 국산 엔진으로 만든 ‘스페셜포스’에 비해 흥행에서 밀렸다. 외산 엔진으로 만든 게임은 그만큼 성능 좋은 컴퓨터를 요구하는 문제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게임 엔진은 기술집약적인 부분이라 자체 엔진을 만들면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며 “개발사들은 짧은 시간 안에 결과를 보기 위해 국외 엔진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게임 원천기술의 국외 의존도를 줄이려는 노력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와이디온라인은 동양 고대사를 다룬 순수 한국형 판타지 게임 ‘패 온라인’을 개발중이다. 이 게임은 상고시대 동북아 정세를 배경으로 한국의 영웅 ‘치우천왕’과 중국 황제 간 전쟁을 다뤘다. 엔씨소프트의 차기작 ‘블레이드엔소울’도 중국 무협과는 다른 한국적 정서를 담았다. 엔씨소프트는 ‘킹덤언더파이어2’도 국산 엔진 ‘페이테크2’를 사용해 제작중인데, 뛰어난 성능과 함께 온라인게임에 최적화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덕규 <베타뉴스>(betanews.net) 기자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