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블릿피시
|
태블릿피시·스마트북·전자책 세계가 주목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지난 10일 폐막한 세계 최대규모 가전제품 전시회(CES)에는, 진화된 개념의 모바일 기기들이 대거 선보였다. 디바이스간 융·복합(컨버전스)과 연결성, 휴대성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과연 휴대전화와 피시 사이에서 어떤 디바이스가 살아남을까? ■ 태블릿피시 노트북보다 작은 휴대용 피시다. 피엠피(PMP)나 모바일인터넷기기(MID) 정도의 크기에 피시 성능을 결합한 것이다. 10여년 전 처음 출시됐지만 상용화에 실패했다. 삼성전자도 2007년 ‘울트라피시’를 내놨다 쓴맛을 봤다. 태블릿피시가 새롭게 뜨는 이유는 터치스크린 기술의 진화 덕분이다. 자판(키패드) 대신 화면에 직접 입력하도록 업그레이드된 것이다. 특히 애플이 아이팟과 아이폰에 이어 태블릿피시에 뛰어들 것으로 알려지면서 경쟁에 불이 붙었다. 라스베이거스 가전쇼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는 두 손가락으로 화면을 확대·축소·회전시킬 수 있는 멀티터치 기능을 담은 ‘슬레이트’(휼렛패커드)를 야심작으로 내놨다. 스티브 발머 회장은 직접 시연을 하며 “키보드 없는 세상”을 주창했다. 구글도 조만간 크롬 운영체제를 탑재한 제품을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
스마트북
|
|
전자책(e북)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