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3.28 21:14 수정 : 2010.03.28 21:15

업계 “모바일 오피스 활성화 먼저”

정부 스마트폰 보급 확대 방침
‘무선인터넷 시장’ 정부·업계 혼선
“기업이용 늘려야 애플 지배 막아”





무선인터넷 시장을 활성화해 정보기술(IT)산업을 키우려면 무엇부터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부와 기업들의 생각이 달라 혼선을 빚고 있다. 정부는 무선인터넷 활성화에는 스마트폰 보급 확대가 우선이라고 보고 있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을 포함한 정책당국자들도 스마트폰을 많이 깔아야 무선인터넷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스마트폰 보급 확대를 위해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무선인터넷 정액요금제 인하를 압박하기도 한다.

반면에 관련 업계는 모바일 오피스 활성화부터 해야 한다고 본다. 모바일 오피스란, 사내통신망(인트라넷)을 스마트폰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까지 확장해, 사무실 밖에서 이동하면서도 회사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동통신 업체들은 무선인터넷 활성화로 국내 정보기술산업을 키우고 다른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려면 모바일 오피스 구축 바람을 일으켜 스마트폰이 업무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이동통신 업체들은 모바일 오피스를 신성장 사업으로 꼽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에스케이텔레콤(SKT)은 ‘아이피이’(IPE), 케이티(KT)는 ‘스마트’(S.M.Art), 통합엘지텔레콤(LGT)은 ‘탈통신’이라는 이름으로 모바일 오피스 사업을 벌이고 있다. 개인 가입자 시장은 포화 상태에 이른데다 가계 통신비 부담에 대한 사회적 저항도 커 사업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해, 기업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에스케이텔레콤은 계열사를 모바일 오피스로 전환해, 모바일 오피스의 ‘원조’를 보여주겠다고 벼르기까지 하고 있다. 모바일 오피스 활성화로 임직원들에게 업무용 스마트폰을 지급하는 기업이 늘어나면, 그만큼 휴대전화를 2대 이상 사용하는 ‘투폰족’도 많아진다. 이통업체로서는 가입자 수가 늘어나게 된다.

이통업체들은 모바일 오피스를 활성화하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폰 보급을 확대하면, 애플의 시장지배력만 키우는 부작용을 낳을 것으로 우려한다. 스마트폰이 업무용으로 사용될 때는 국산 제품이 설 자리가 있지만, 개인이 엔터테인먼트 용도로 스마트폰을 구입할 때는 아이폰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동통신 업계 일각에서는 정부가 애플과 구글의 사업모델을 ‘정석’처럼 전파하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을 제기한다.

이런 지적은 휴대전화 제조업체 쪽에서도 나오고 있다. 한 업체 임원은 “휴대전화 제조업체들이 스마트폰 새제품의 국내 출시를 앞두고 고민에 빠진 것도, 개인 가입자에 초점을 맞춘 시장은 아이폰에 선점당해 확장 여지가 별로 없는데 기업의 업무용 시장은 가시화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시스템통합(SI) 업체들도 정부가 서둘러 모바일 오피스 활성화에 나서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들은 모바일 오피스를 활성화하면, 각 정부기관과 기업별로 사내통신망을 스마트폰까지 확장하고 보안장치와 사용법 등을 최적화해야 해, 소프트웨어 개발 시장을 키우고 공공기관과 기업이 고객을 찾아가는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한다. 한 업체 관계자는 “정부가 할 일은 시장을 여는 것”이라며 “공공기관이 먼저 모바일 오피스 구축에 나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