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4.11 22:26 수정 : 2010.04.11 22:26

특정 단말기 종속 안되게
‘모바일 표준화’ 추진키로

정부 각 부처와 공공기관들이 애플 아이폰에서만 작동하는 스마트폰용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현실(<한겨레> 4월8일치 19면 참조)을 개선하기 위해 ‘모바일 표준화’가 추진된다.

행정안전부는 11일 보도자료를 내어 “아이폰 이외의 스마트폰에서도 공공서비스가 가능해지도록 공공부문 모바일 응용서비스에 대한 개발 가이드라인을 이달 말까지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전자정부 서비스의 표준화 업무를 맡고 있는 행안부가 특정 플랫폼과 기기 종속성을 탈피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모바일 응용서비스 개발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것은 처음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마이크로소프트(MS)에 종속된 유선 인터넷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기존 웹사이트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며 “모바일 환경에서도 공공서비스가 특정 단말기나 브라우저에 종속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오는 28일 공청회를 열어 정부의 ‘모바일 표준화 방안’을 발표하고, 공공정보의 민간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공공기관이 지켜야 할 ‘공공정보 제공 가이드라인’에 관한 의견도 수렴할 예정이다.

모바일 응용서비스를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앱)으로 만들 경우 실행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으나 특정 단말기 기종과 플랫폼에서만 작동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서비스를 다양한 단말기 기종과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해야 한다.

구본권 기자 starry9@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