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홍창선 의원(열린우리당)은 23일 정통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진대제 정통부 장관은 올초 대통령 업무보고 당시 전년의 IT(정보기술)생산ㆍ수출이 목표를 초과달성했다고 보고했으나 이는 IT839 전략의 결과물이 아니라 반도체ㆍ휴대전화 등 제조업 호황에 따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주요 통신업체들이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유ㆍ무선 6개 업체의 투자비가 2000년 8조1천600억원에서 작년엔 5조7천억원으로 무려 24.5% 나 감소했다고 홍 의원은 밝혔다.
특히 와이브로(휴대인터넷)와 광대역통합망(BcN) 등 IT839 전략의 8대 서비스 사업에 수많은 중소기업들과 벤처업체가 뛰어들어 연구개발(R&D)투자에 나섰으나 사업이 예정대로 추진되지 않는 등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홍 의원은 말했다.
실제로 와이브로의 경우 하나로텔레콤이 사업권을 포기한 데 이어 SK텔레콤도 투자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KT도 최근 와이브로 사업투자 계획을 대폭 축소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고 홍 의원은 설명했다.
이에 앞서 진대제 정통부 장관은 지난 7월 '2005 하반기 전략회의'에서 "IT839전략을 시장수요와 기업의 수익 기반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전략수정 방침을 시사했다.
정통부 관계자도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부문 강화와 더불어 바이오와 나노 등 향후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와 IT를 접목한 융합기술을 적극 지원하는 방향으로 IT839 전략을 보완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권용 기자 kky@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