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11.12 09:31 수정 : 2018.11.12 09:31

차량·보행자·인프라 사이 정보공유하는 C-V2X 모듈
커텍티드카 등에 장착 가능…국제 기술표준 범용성 확보

엘지(LG)이노텍은 자율주행차에 장착하는 셀룰러-차량·사물통신(Cellular Vehicle-to-Everything·C-V2X) 모듈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C-V2X는 롱텀에볼루션(LTE) 이동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차량과 차량·보행자·인프라 사이의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이 모듈을 이용하면 V2X와 관련한 수백개의 부품과 통신회로 및 소프트웨어 설계 없이 완성차 및 차량 부품업체들이 차세대 통신 플랫폼 구축에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게 회사 쪽 설명이다. 또 세계이동통신표준화 기술협력기구(3GPP)가 지난해 3월 규정한 국제 기술 표준인 ‘LTE C-V2X 직접통신'을 적용해 지역·차량과 관계없이 여러 업체가 이용할수 있다. 모듈 크기는 신용카드의 3분의 1 크기다.

엘지이노텍 관계자는 “커넥티드카와 자율주행차 등에 장착 가능한 모듈 단계까지 기술 완성도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시장조사기관 럭스리서치 전망으로, 2020년 세계 V2X 시장 규모는 65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이 모듈은 오는 13~16일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세계 부품 전문 전시회인 ‘일렉트로니카 2018'에서 공개된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