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2.16 14:58 수정 : 2005.12.16 14:58

유저욕구-검열간 `균형' 고심

구글이 중국시장 진출 확대에 부심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16일 보도했다.

저널은 지난 2000년 중국어버전 서비스를 시작한 구글이 그간 중국시장에 소극적인 입장이었으나 지난해 6월 중국 1위 검색 사이트인 바이두닷컴 지분 2.6%를 인수하고 극 10월 공동 오너인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가 중국을 방문하면서 적극적인 공략으로 본격 전환됐다고 분석했다.

구글은 또 지난 7월 마이크로소프트의 연구담당 부사장을 지낸 중국계 리카이푸(43)를 전격 영입해 베이징에 첫 사무소를 개설한 후 광고 수주 등 적극적인 비즈니스에도 나섰다. 구글은 리카이푸 영입으로 마이크로소프트로부터 제소 당하기도 했다.

저널은 구글이 중국 비즈니스를 이처럼 공격적으로 바꾼데 대해 지난 97년 62만명에 불과하더 인터넷 유저가 지난 6월 현재 1억300만명으로 급증해 미국 다음으로 많은 유저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구글은 이와 관련해 공동 창업자들이 중국에 갔을 당시 대외비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중국측에 국가기관 광고를 구글이 무료 게재하겠다는 의사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저널은 전했다. 또 중국측의 인터넷 검열에 대한 `이해'도 우회적으로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저널은 덧붙였다.

구글은 중국어버전이 인기를 더해가던 지난 2002년 9월 돌연 중국측에 의해 사이트가 차단됐다가 2주 후 재개된 쓰라린 경험을 갖고 있다. 당시 사이트 차단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서비스가 재개되면서 파룬궁 등 중국에서 정치적으로 민감한 내용들은 액세스되지 않는 것도 알게됐다.


중국 당국은 구글 서비스 가운데 특히 인기가 급증하고 있는 지도 검색에 긴장하고 있다고 저널은 전했다. 한 예로 중국인들이 클릭만하면 최고 지도자들이 모여 살고 있는 중난하이를 손금보듯이 훤히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저널은 구글의 비즈니스 철학 가운데 하나가 "절대로 악마가 되지 않는다"는 것임을 상기시키면서 향후 중국 비즈니스에서 유저의 욕구에 부응하는 것과 중국 당국의 검열을 동시에 만족시켜야하는 두 상반된 요소의 `균형'을 어떻게 유지하느냐도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IT 장비업체 시스코가 웹사이트 차단 장비를 중국측에 판매해 비판받은 것과 지난 99년 중국에 진출한 야후가 중국 반체제 저널리스트의 야후 메일 자료를 중국 공안에 넘겨줘 논란을 빚은 점도 구글이 참고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저널은 지적했다. 문제의 저널리스트는 10년형을 선고받고 현재 복역중이다.

저널은 타임워너의 경우 산하 아메리카 온라인(AOL) 비즈니스를 위해 중국 컴퓨터 메이커 렌샹그룹과 합작하려다 중국측의 간섭 때문에 결국 포기한 사례도 있다고 상기시켰다.

이런 비판적인 시각에 대해 구글의 중국현지 책임자 리카이푸는 저널에 "중국인의 인터넷 액세스에 대해 미국에서 오해하는 부분이 많다"면서 중국 토종 검색 사이트인 바이두닷컴이 급속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구글의 중국 진출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한 것이다.

jksun@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