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선 타결에 시장이 수용거부
28일 경기도 성남시와 업체간 판교신도시 민간 아파트에 대한 분양가 협상은 극적 타결직후 백지화됐다.6개 분양아파트 업체는 당초 지난 16-17일 평당 평균 1천233만원에 입주자 모집공고 승인을 신청했다.
그러나 시가 임대아파트 청약일정까지 미루며 승인을 거부하자 1천187만원까지 낮춰 시와 협상을 벌여왔다.
당시 시는 1천150만원대까지 끌어내려야 한다고 공언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1천166만원대를 하한선으로 잡고 업체측과 절충을 벌였다.
이에 대해 업체측은 금융이자비용.채권처분율.슬라브공사비.택지납입지연가산금.정보통신특등급.지역난방부담금 등 8개 항목에서 시의 요구를 받아들였다.
다만 시와 업체측은 암반파쇄공사비와 지하층공사비에 대해 최신공법을 고수해 시와 2-3배 정도의 격차를 좁히지 못했다.
시와 업체측의 협상은 이날 오전 시가 1천170만원대까지 하한선을 낮출 방침이 전해지면서 급진전됐다.
시 실무부서와 업체대표들은 마라톤 협상 끝에 오후 6시께 평균 평당 분양가를 '1천179만9천410원'으로 잠정 결정하고 협상을 마무리했다.
하지만 이 같은 실무 합의는 담당국장이 이대엽 시장에게 보고하는 과정에서 이 시장의 수용거부로 30여분만에 백지화됐다.
이에 따라 이미 예고된 기자회견도 자동연기됐으나 담당국장은 "업체측과 내일 더 협의할 것"이라고만 밝혀 혼란을 더했다.
이 시장은 이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적정 분양가는 1천170만원대 초반"이라며 사실상 '5만원 추가인하' 방침을 밝혔다.
그는 또 "법정관리업체인 건영의 분양가가 가장 비싸다"며 "회사측 사정을 분양자들에게 전가하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며 건영을 지목해 비판했다.
시는 이날 밤이라도 협상을 재개할 계획이지만 업체측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타결여부를 가능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시장은 "시민들이 분양일정에 차질이 생기더라도 경제적 부담을 적게 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며 거듭 분양가 인하방침을 확인했다.
이런 가운데 29일 아침까지 절충에 실패하면 청약일정에 혼란이 불가피해 일부에서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도박이 지나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는 또 분양.임대 동시 분양승인 방침을 바꿔 임대아파트만 이날 오후 8시께 전격 입주자 모집공고를 승인해 판교 분양시장에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김경태 기자 ktkim@yna.co.kr (성남=연합뉴스)
광고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