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외부동산 ‘100만달러 투자’ 허용 의미
외환자유화의 ‘뜨거운 감자’였던 투자목적 국외부동산 취득이 앞당겨 허용됨에 따라 앞으로 ‘부동산 투자의 국제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처는 급격한 원화가치 상승(환율 하락)에 제동을 걸기 위한 것이지만, 거품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서울 강남 집값 안정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벌써부터 문의전화 폭주“ 전문투자업체들 들썩변칙상속 악용 소지도 국외부동산 투자, 물꼬 터질까?=‘투자용 국외부동산’이란, 본인이 외국에 살지 않으면서도 시세차익을 노리거나 또는 월세 수입 등을 위해 구입하는 집이나 땅을 말한다. 이번 조처로 자녀들을 외국에 유학 보내고 자신들은 국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주거용과 투자용을 겸한 형태로 주택구입에 나설 가능성이 커졌다. 자녀와 함께 외국에서 사는 ‘기러기 부모’들의 주거용 국외부동산 구입은 이미 자유화됐다. 또 정부의 부동산정책이 점점 강도를 더해 가면서 국외부동산 투자가 새로운 대체투자수단으로 높은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국외부동산 전문 투자업체 ‘루티즈 코리아’의 임채광 팀장은 18일 “발표 내용이 알려진 오후부터 문의전화가 크게 늘었다”며 “지금까지도 투자용 부동산에 대한 고객 문의가 많았는데, 앞으로 해외부동산 투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시중에 단기 부동자금은 충분한 상태여서 투자여력은 얼마든지 있다는 것이다. 권용규 우리은행 외환서비스센터 과장도 “주거용 허용 때와는 달리 해외부동산 매입 건수가 획기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일반투자자들의 관심이 50만~100만달러(약 5억~10억원)에 집중돼 있어 취득한도는 큰 문제가 안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환율·집값 안정에 도움?=이번 조처는 환율 하락과 강남 집값 거품 붕괴 등이 이슈화되고 있는 시점에 발표됐다. 당장 자본수지 적자를 끌어내 환율 안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의 외환시장 규모가 하루평균 290억달러에 달하고, 외환자유화 조처가 외환시장을 계속 키우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규모가 작은 국외부동산 취득이 환율 변동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국내 부동산시장에 더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부동산업계에선 “종합부동산세보다 강남 집값 안정에 더 큰 효과를 발휘할지도 모른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미국 부동산 시장이 우리보다 먼저 거품이 빠지고 있는 시점이라 투자결정을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최근 상속·증여세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시점에서 투자용 국외부동산 취득이 탈세 목적의 변칙 상속·증여 수단으로 악용될 소지도 없지 않다. 권태호 석진환 기자 ho@hani.co.kr
원화 국제화?
“국제상거래서 달러처럼 사용…” 바람섞인 조처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