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면
|
[집중점검] 참여정부 집값 끝내 못잡나 (하) 공급확대 정책
지난달 25일 인천 검단 새도시 예정지에서는 미분양 아파트를 사기 위해 밤샘 줄서기가 이어졌다. 불과 닷새 전인 20일엔 단 1건의 청약 접수도 없었던 ‘삼라마이다스’ 본보기집 앞에 선착순 분양 소식이 알려지자 전날 밤부터 200여명이 몰려들었다. 이 때 줄서기 했던 김아무개(55)씨는 “검단 새도시 아파트 분양값이 평당 1200만원은 넘지 않겠느냐. 지금 600만원 짜리를 사두면 3년 뒤 새도시 분양 때는 1천만원은 받을 수 있다. 30평형대는 1억원은 남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은평 뉴타운에서 파주 새도시로 이어진 고분양가 행진이 이곳에서도 재연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 것이다. 판교 용적률 159%…검단·파주 200% 고려할만광역시설부담금 치자체-입주민 적절 분담 필요 정부를 믿지 않는 수요자들의 불안심리 중심에는 ‘고분양가’가 자리잡고 있다. 이것이 주변의 가격 상승을 부추긴다. 결국 저가 분양이 해법인 셈이다. 김영진 내집마련정보사 사장은 6일 “수요자들이 확신을 갖도록 어디를 얼마에 분양하겠다고 밝혀야 집값이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새도시 저가 분양 가능하다=판교 새도시의 실제 분양가는 중소형 아파트(전용 25.7평 이하)는 평당 1130만원대, 중대형은 1300만원대(채권액 제외)였다. 그러나 판교의 용적률을 조금 높이고 기반시설 비용을 줄였다면 지금보다 훨씬 싼 가격에 분양이 가능했다. 판교의 용적률은 159%다. 이것을 인근 평촌 새도시(204%) 수준인 200%로 높였다면 지금보다 33평형 아파트를 7천가구 더 공급할 수 있었을 것이다.
|
판교 새도시에 이어 고분양가 논란을 불러온 은평 뉴타운 강북개발 분양지. 이종근 기자.
|
또 송파 새도시는 공영개발되고 전매도 제한된다. 애초 2008년 8월 분양 예정에서 군부대 이전, 후분양제 등으로 2009년 9월로 연기했으나, 집값 안정을 위해서는 앞당겨 분양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장성수 주택산업연구원 정책연구실장은 “2008년부터 시행 예정인 ‘청약 가점제’ 도입도 앞당겨 공공 택지의 중대형 아파트들도 무주택자와 소형 주택 소유자 등 실수요자에게 우선 당첨 기회가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 검단과 파주 등 수도권 새도시도 분양원가 공개 등을 통해 저가 분양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박상언 유엔알 컨설팅 대표는 “현재 분양값이 주변 집값의 90% 수준이 되도록 한 중대형 아파트의 채권 입찰제도를 손질해 시장 여건에 따라 채권 상한액을 조정해 나가는 한편, 공급 제도를 누구나 당첨될 수 있는 방식에서 실수요자에게 우선 공급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허종식 기자 jongs@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