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1.02 18:47 수정 : 2007.01.02 18:47

주요 건설사 2007년 공급 계획

일단 공급물량은 크게 늘려잡아
분양가상한제 등 변수에 몸사려

건설사들이 새해 주택 공급 계획을 세우는 데 고심하고 있다. 민간택지에 분양값 상한제가 도입되고 토지임대부와 환매조건부 분양 주택도 시범 공급되는 등 분양 시장에 ‘메가톤급’ 변수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대형 건설사들은 일단 올해 주택 공급 물량을 지난해보다 대폭 늘려잡고 있다. 삼성물산이 1만6천가구, 대림산업 1만6450가구, 지에스건설과 현대산업개발이 각각 1만5천가구로 2006년에 견줘 갑절에서 세 배까지 늘릴 계획이다.

지난해 공급 실적 1위를 기록한 대우건설은 지난해와 비슷한 1만5638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며, 현대건설은 1만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 밖에 롯데건설이 1만2459가구, 금호산업도 두 배 가량 늘어난 7천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에스케이건설은 지난해 수준인 4600가구를 공급한다.

그러나 업체들마다 구체적인 공급 시기를 잡는 데는 애를 먹고 있다. 지난 연말 정부가 올해 9월부터 민간택지에 분양값 상한제를 도입하기로 해 분양 시장 전망이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건설업체들로서는 분양값 상한제로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상반기 중 분양을 서두르는 게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주택 수요자들은 반대로 분양값 상한제가 적용되는 저렴한 아파트를 분양받기 위해 청약을 9월 이후로 미룰 것으로 예상된다. 9월 이전에는 분양 시장이 얼어붙을 가능성이 있고, 그렇다고 분양을 늦추면 분양값 상한제를 적용받게 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경쟁력이 있는 사업 터는 분양 일정을 최대한 앞당기기로 원칙을 정했으나 구체적인 분양 일정은 유동적”이라면서 “지난해 이월된 물량도 많아 아무래도 건설사들마다 상반기에 물량을 쏟아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또 올해 하반기께 토지임대부와 환매조건부 분양 방식을 통해 시범 공급될 이른바 ‘반값 아파트’도 분양 시장의 복병으로 지목된다.

반값 아파트는 시범 사업 수준이어서 공급량은 적겠지만, 신규 분양 시장에 끼칠 심리적 영향은 무시할 수 없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분석이다.

최종훈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