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01.29 19:39
수정 : 2007.01.29 19:42
|
전국 국민임대아파트 연도별 입주 물량
|
2008년 입주물량 5만6600가구…‘100만가구’ 사업 효과
부도난 아파트도 활용…2010년 이후 10만가구 넘을 듯
내년부터 국민 임대아파트 입주 물량이 크게 늘어난다. 2003년부터 추진해 온 국민 임대아파트 100만가구 건설 사업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셈이다. 여기에 다세대·다가구주택 등을 매입해 매년 6500가구씩 임대하고, 부도난 아파트도 매년 1만가구 이상씩 사들여 임대아파트로 활용할 예정이어서 앞으로는 입주 가능한 임대주택은 더 늘어나게 된다.
건설교통부는 전국 국민 임대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 3만4500가구를 시작으로 2008년 5만6600가구, 2009년 8만가구, 2010년 이후에는 매년 10만가구가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29일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사업 승인 기준) 국민 임대아파트를 100만가구 공급한다는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입주자 모집 등에 많은 시간이 걸려 올해까지는 실제로 입주하는 물량은 많지 않다. 수도권 곳곳에서 국민 임대아파트가 건설되고 있지만 국민 임대아파트에 입주하려면 사업 승인 후 3~4년 이상 걸린다. 서울은 국민 임대아파트를 완공한 뒤 입주자를 모집하고, 경기·인천은 입주 1년 전에 입주자를 뽑기 때문이다.
현재 그린벨트 해제 지역 등에서 건설중이거나 착공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국민 임대아파트는 서울 8곳(1만4043가구), 경기 24곳(7만7384가구), 인천 3곳(9936가구) 등 수도권에서만 38곳에 이른다. 이들 국민 임대아파트 단지는 평균 용적률이 150% 정도이며, 공원·녹지율은 30~40% 된다. 기존의 임대아파트들과는 입지와 주거 여건 등이 확연히 다르다. 창릉천 등 9개 하천을 활용해 친환경적 생태 주거도시로 건설되는 고양 삼송 지구가 대표적이다.
또 건교부는 국민 임대아파트와 별도로 도심에 있는 다세대·다가구주택들을 집중적으로 사들여 임대주택으로 활용하는 ‘매입형 임대주택’을 2012년까지 매년 6500가구씩 공급할 계획이다. 매입형 입대주택은 기초생활수급자만 입주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올해 부도 아파트 1만2천가구, 내년에도 1만가구 이상을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부동산펀드 등을 조성해 일부를 임대주택 건설 재원으로 쓰기로 해 앞으로 임대주택 공급 물량이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허종식 기자
jongs@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