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관계자는 "지방 분양상황이 좋지 않지만 사업지 여건이 괜찮고, 투기과열지구도 해제된 만큼 분양을 강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대우건설은 연말까지 파주 봉일천, 구미 원호리, 인천 송도 주상복합 등 7개 현장에서 4천200가구를 내놓을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당초 계획된 물량을 모두 연내에 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시장 안좋다..분양 연기도 속출 = 그런가 하면 지방 사업지를 중심으로 분양을 내년 이후로 미루려는 업체도 늘고 있다. 분양이 늦춰질수록 회사가 부담해야 하는 금융비용이 증가하지만 분양에 참패하느니 차라리 연기하는 게 낫다는 판단에서다. 지방의 경우 청약률이 '제로(0)'인 곳이 많을 정도로 시장상황이 좋지 않고 대선과 연말연시 분위기도 감안됐다. 하지만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이달 말까지 분양승인을 신청해 분양가 상한제는 피한 뒤 분양시기만 늦춘다는 입장이다. 건설교통부도 이에 대해 "통상적인 입주자모집공고 승인 형식과 절차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승인권자인 지자체가 판단해서 결정할 문제"라며 크게 문제삼지는 않는 입장이어서 분양시기만 미루는 업체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GS건설은 연내 9개 사업지에서 9천734가구를 쏟아내는 한편 광주시 첨단동, 대구시 신천동, 부산시 거제동, 천안시 성거읍, 남양주 화도읍 등 5개 사업지 5천여가구는 분양을 내년으로 미루기로 했다. 대부분 분양경기가 좋지 않은 지방 사업지로 남양주 화도읍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업승인을 받은 채 분양승인 절차만 남겨놓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일단 대선 이후에는 청약심리가 살아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감 때문에 금융비용 증가를 각오하고 분양 시기를 늦추기로 했다"며 "분양승인은 이달 내 신청해 상한제를 피한 뒤 분양시점만 내년 이후로 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주건설도 광주광역시 등 지방 10여곳의 분양 시점을 내년 이후로 미뤘고 신창건설도 수원시 망포동 400여가구의 분양을 최근 나빠진 청약시장과 대선 등을 감안해 내년으로 미루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그런가 하면 진흥기업은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더라도 사업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내년에 9개 현장에서 7천300여가구를 공급할 예정인데 올해 계획에서 미뤄진 것들이 상당수다. 회사 관계자는 "분양시장이 나쁜데 무리하게 사업을 했다가는 회사가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고 판단해 시장이 좋아질 때를 기다리며 사업 속도를 늦추고 있다"고 말했다. 서미숙 기자 sms@yna.co.kr (서울=연합뉴스)
|
아파트 분양시장 두얼굴 ‘서두르고, 미루고’ |
분양가 상한제를 피해갈 수 있는 최종 마지노선이 이달 말로 다가오면서 건설업계의 대응 방안이 양분화되고 있다.
대체로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자는데는 이견이 없지만 분양 시점은 '연내 분양'과 '내년 이후 분양'으로 갈리는 모양새다.
돈되는 곳에만 수요자가 몰리고 그렇지 않은 곳은 외면받는 '청약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회사마다 처한 입장이 다른 것이다.
이로 인해 분양시기를 저울질해야 하는 건설회사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 연내 분양 서두르자 = 13일 업계에 따르면 계약률이 비교적 높은 수도권이나 지방이라도 분양성이 괜찮은 곳, 사업성 문제로 부득이하게 상한제를 피해야 하는 건설사들은 연내 분양을 마치기 위해 잰걸음을 하고 있다.
중견 건설회사인 월드건설은 연내에 울산 매곡동 월드시티(2천686가구), 김포 고촌(560가구), 파주 운정(972가구) 등 7개 현장에서 4천955가구를 쏟아낼 예정이다.
월드건설 관계자는 "지방은 경기가 좋지 않지만 수도권은 청약률은 나빠도 선착순 계약률은 괜찮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상한제 시행 전에 물량을 털어내기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라건설도 고민끝에 천안시 용곡동 한라비발디 1천163가구를 이달 15일부터 분양하기로 결정했다. 지역내 미분양 아파트와 연내 입주 물량이 많지만 상한제와 금융비용 등을 감안해 더이상 미룰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회사 관계자는 "지방 분양상황이 좋지 않지만 사업지 여건이 괜찮고, 투기과열지구도 해제된 만큼 분양을 강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대우건설은 연말까지 파주 봉일천, 구미 원호리, 인천 송도 주상복합 등 7개 현장에서 4천200가구를 내놓을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당초 계획된 물량을 모두 연내에 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시장 안좋다..분양 연기도 속출 = 그런가 하면 지방 사업지를 중심으로 분양을 내년 이후로 미루려는 업체도 늘고 있다. 분양이 늦춰질수록 회사가 부담해야 하는 금융비용이 증가하지만 분양에 참패하느니 차라리 연기하는 게 낫다는 판단에서다. 지방의 경우 청약률이 '제로(0)'인 곳이 많을 정도로 시장상황이 좋지 않고 대선과 연말연시 분위기도 감안됐다. 하지만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이달 말까지 분양승인을 신청해 분양가 상한제는 피한 뒤 분양시기만 늦춘다는 입장이다. 건설교통부도 이에 대해 "통상적인 입주자모집공고 승인 형식과 절차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승인권자인 지자체가 판단해서 결정할 문제"라며 크게 문제삼지는 않는 입장이어서 분양시기만 미루는 업체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GS건설은 연내 9개 사업지에서 9천734가구를 쏟아내는 한편 광주시 첨단동, 대구시 신천동, 부산시 거제동, 천안시 성거읍, 남양주 화도읍 등 5개 사업지 5천여가구는 분양을 내년으로 미루기로 했다. 대부분 분양경기가 좋지 않은 지방 사업지로 남양주 화도읍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업승인을 받은 채 분양승인 절차만 남겨놓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일단 대선 이후에는 청약심리가 살아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감 때문에 금융비용 증가를 각오하고 분양 시기를 늦추기로 했다"며 "분양승인은 이달 내 신청해 상한제를 피한 뒤 분양시점만 내년 이후로 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주건설도 광주광역시 등 지방 10여곳의 분양 시점을 내년 이후로 미뤘고 신창건설도 수원시 망포동 400여가구의 분양을 최근 나빠진 청약시장과 대선 등을 감안해 내년으로 미루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그런가 하면 진흥기업은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더라도 사업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내년에 9개 현장에서 7천300여가구를 공급할 예정인데 올해 계획에서 미뤄진 것들이 상당수다. 회사 관계자는 "분양시장이 나쁜데 무리하게 사업을 했다가는 회사가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고 판단해 시장이 좋아질 때를 기다리며 사업 속도를 늦추고 있다"고 말했다. 서미숙 기자 sms@yna.co.kr (서울=연합뉴스)
회사 관계자는 "지방 분양상황이 좋지 않지만 사업지 여건이 괜찮고, 투기과열지구도 해제된 만큼 분양을 강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대우건설은 연말까지 파주 봉일천, 구미 원호리, 인천 송도 주상복합 등 7개 현장에서 4천200가구를 내놓을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당초 계획된 물량을 모두 연내에 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시장 안좋다..분양 연기도 속출 = 그런가 하면 지방 사업지를 중심으로 분양을 내년 이후로 미루려는 업체도 늘고 있다. 분양이 늦춰질수록 회사가 부담해야 하는 금융비용이 증가하지만 분양에 참패하느니 차라리 연기하는 게 낫다는 판단에서다. 지방의 경우 청약률이 '제로(0)'인 곳이 많을 정도로 시장상황이 좋지 않고 대선과 연말연시 분위기도 감안됐다. 하지만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이달 말까지 분양승인을 신청해 분양가 상한제는 피한 뒤 분양시기만 늦춘다는 입장이다. 건설교통부도 이에 대해 "통상적인 입주자모집공고 승인 형식과 절차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승인권자인 지자체가 판단해서 결정할 문제"라며 크게 문제삼지는 않는 입장이어서 분양시기만 미루는 업체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GS건설은 연내 9개 사업지에서 9천734가구를 쏟아내는 한편 광주시 첨단동, 대구시 신천동, 부산시 거제동, 천안시 성거읍, 남양주 화도읍 등 5개 사업지 5천여가구는 분양을 내년으로 미루기로 했다. 대부분 분양경기가 좋지 않은 지방 사업지로 남양주 화도읍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업승인을 받은 채 분양승인 절차만 남겨놓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일단 대선 이후에는 청약심리가 살아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감 때문에 금융비용 증가를 각오하고 분양 시기를 늦추기로 했다"며 "분양승인은 이달 내 신청해 상한제를 피한 뒤 분양시점만 내년 이후로 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주건설도 광주광역시 등 지방 10여곳의 분양 시점을 내년 이후로 미뤘고 신창건설도 수원시 망포동 400여가구의 분양을 최근 나빠진 청약시장과 대선 등을 감안해 내년으로 미루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그런가 하면 진흥기업은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더라도 사업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내년에 9개 현장에서 7천300여가구를 공급할 예정인데 올해 계획에서 미뤄진 것들이 상당수다. 회사 관계자는 "분양시장이 나쁜데 무리하게 사업을 했다가는 회사가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고 판단해 시장이 좋아질 때를 기다리며 사업 속도를 늦추고 있다"고 말했다. 서미숙 기자 sms@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