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주택시장침체 장기화 땐 국내 주택시장도 영향” |
미국의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국내 주택시장에도 부정적 영향이 미칠 수 있는 만큼 전세계 유동성의 흐름을 주시하며 주택금융의 건전성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준경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미국 주택시장의 침체와 우리나라의 주택금융 환경' 보고서를 통해 미국 주택시장 침체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적극적인 대응으로 1~2년 내 마무리된다면 국내 주택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하 위원은 분석결과 한국과 미국간 주택가격상승률 동조화현상은 중장기적으로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1~2년 정도의 단기에는 국내 주택가격이 국내 주택관련 대책들에 의해 좌우될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미국과 세계 금리 및 유동성 흐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했다.
그는 미국 주택가격이 우리나라 주택가격에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은 미국 주택가격에 영향을 끼친 미국 금리가 우리 나라 금리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 위원은 미국 주택시장 침체가 미국과 전세계 유동성의 지속적 축소를 반영하는 것이라면 국내 주택시장에도 중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만큼 전세계 유동성의 흐름을 예의 주시하며 자산가격의 중장기적 조정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금융기관과 금융감독당국은 총부채상환비율(DTI) 등의 주택금융 건전성 규제가 엄격히 지켜지도록 해야 하며 주택금융소비자도 향후 중장기적인 주택가격 조정과 금리조정 가능성에 유념해 차입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황희경 기자 zitrone@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