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8.03 19:39 수정 : 2008.08.03 21:24

‘주택구입능력지수’ 측정

중간 소득 수준의 일반 근로자가 서울에서 중간 수준의 아파트를 한 채 구입하려면 수입이 지금보다 50% 더 늘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3일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 활용되는 ‘주택구입능력지수(HAI)’ 개념을 적용해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들의 지역과 주택규모, 계층별 주택구입능력을 측정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3월 현재 지역별 주택구입능력지수(중간 소득 근로자가 중간 가격 아파트를 구입했을 경우)는 서울이 151.4로 가장 높았고, 경기(105.1)가 뒤를 이었다. 대구(68.0), 인천(66.8), 부산(56.9), 대전(52.0) 등은 100을 밑돌았다. 주택구입능력지수는 ‘대출상환가능소득/중간소득×100’으로 산출되며 지수가 100을 넘을 수록 대출 상환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서울이 151.4라는 것은 중간 소득 근로자가 중간가격 아파트를 구입했을 경우 대출 원리금을 무난히 상환하기 위해선 소득이 현재보다 1.5배 더 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주택대출 금리가 연 6.7%인 상황에서 연 소득이 4700만원(서울 전체 가구 중간소득)인 가구가 3억9천만원(서울 주택 중간 가격)짜리 66㎡(20평형)짜리 주택을 구입했다면 연소득이 7100만원이 돼야 안정적으로 원리금을 갚아나갈 수 있다는 얘기다.

주택금융공사 쪽은 “전국 기준 주택구입능력지수가 2005년 9월 62.5까지 떨어졌다가 대출금리 상승 영향으로 지난해 말 78까지 상승하는 등 최근 부담이 빠르게 다시 커지는 추세”라고 밝혔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