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8.21 14:22 수정 : 2008.08.21 14:22

새도시 오산 세교2지구 가보니…

신도시 추가 조성 소식이 전해진 21일 경기도 오산 세교신도시의 현지 주민들과 부동산중개업소들은 "세교1지구가 지정된 7년 전부터 예견된 일"이라며 대체로 차분한 모습을 보였다.

세교 신도시는 현재 주택공사가 280만㎡ 규모로 개발중인 오산 세교2지구(1만4천여가구)의 서쪽에 있는 520만㎡로 국토해양부는 두 지구를 합쳐 총 800만㎡(4만여가구)의 신도시를 조성할 방침이다.

현지 중개업계에서는 세교지구 신도시 추가 지정에 대해 최근 동탄2신도시 등 인근에 대규모 개발이 발표된 뒤여서 큰 기대감 없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오산시 궐동의 K중개업소 관계자는 "신도시로 추가 조성한다는 세교지구와 인접한 동탄2신도시 물량이 나오기 시작하면 과잉 공급이 될 게 뻔하다"며 "세교1지구의 임대물량이 60%를 차지해 신도시로 확대 개발되더라도 임대물량 비율이 비슷할 것으로 보여 일반 투자자들의 매력을 끌지 못할 것 같다"고 진단했다.

양산동의 N중개업소 관계자도 "세교신도시 옆에 가장산업단지가 조성되는 등 세교1지구와 마찬가지로 임대물량만 늘어 세교지구 확대에 따른 공급 과잉으로 미분양 사태가 우려된다"고 걱정했다.

신도시로 조성되는 세교2지구 주변 520만㎡는 2004년 12월 지정된 2지구 280만㎡의 서쪽과 이어지는 곳으로, 오산시가 지난해 말부터 추가 개발을 줄기차게 요구해 온 곳이다.

사동에서 30여 년 살고 있는 임모(61) 씨는 "세교2지구 주변지역 추가 지정은 세교1지구가 조성될 2001년 12월부터 업계에서 소문이 이미 파다했던 터라 현지에선 별다른 반응이 없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또한 "작년에 서울과 가까운 동탄2신도시 조성계획이 발표되는 바람에 더 기대감이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세교신도시에 포함되는 서동.가장동 일대는 2006년 3월 개발행위제한지역으로 묶인 뒤 부동산 매매가 거의 안된 곳이어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할 것으로 현지 중개업자들은 진단했다.

또 정부의 이번 대책은 투기자금을 부동산시장으로 끌어들여 미분양으로 위기에 빠진 건설업체를 활성화하겠다는 의도가 다분하다며 세교지구 주변 신도시 추가 지정의 의미를 축소하고 있다.

가장동의 W중개업소 등 현지 업계는 "고금리에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지금과 같은 금융규제가 유지되는 상황에서는 택지공급을 늘린다는 것이 서민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규제를 풀어야 침체된 건축경기가 되살아나지 신도시 추가 지정으로는 대책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오산시는 그러나 "그동안 개발행위가 제한됐던 해당지역 주민들은 '지역발전'에 대한 기대로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라며 "시도 지속적으로 세교2지구 확대 개발을 요구해온 만큼 환영한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개발행위 제한으로 피해본 주민들의 불편은 해소되겠지만 정부가 지자체와 협의없이 세교신도시 계획을 발표한 점은 아쉽다"며 "앞으로 세부계획은 지역 의견을 반영해 수립한 뒤 추진해야 지역반발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산=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