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 가락 시영, 강남구 역삼동 개나리5차 등 일부 재건축 단지에서는 조합원 전매금지가 풀리면서 자금압박을 받고 있던 집주인들의 매물이 나오기 시작했다. 삼천공인 관계자는 "전매금지로 못팔았던 사람들 매물이 늘어날 것 같다"며 "하지만 매수자들이 잠잠해 대출이나 세금규제를 풀어줘야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덕동 실로암공인 대표는 "재건축 규제 완화폭이 크지 않고, 수요를 뒷받침해줄 정책이 없다보니 시장에 반응이 없는 것"이라며 "정부가 조만간 발표할 세제개혁 등을 봐가며 매수자들이 움직일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
부동산 시장 ‘무덤덤’…매물만 일부 나와 |
재건축 조합원 지위양도가 가능해지고 안전진단의 문턱이 낮아졌지만 아직까지 재건축 시장의 반응은 무덤덤하다.
향후 시장 전망을 묻는 재건축 보유자들의 문의전화만 있을 뿐 매수자들의 입질은 없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다만 조합원 지위양도 금지 규정에 묶여 집을 팔지 못하고 있던 일부 재건축 단지에서는 자금압박을 받고 있는 매물들이 서서히 나오고 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안전진단 규제 완화로 재건축 가능성이 커졌지만 거래는 되지 않고 있다.
22일 엘리트공인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에 영향이 큰 핵심 대책이 모두 빠져 있고 경기가 어려워서인지 대책발표에도 불구하고 매우 조용하다"며 "매수, 매도자 모두 관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도 21일 대책 발표 직후 112㎡는 10억8천만원에서 11억원으로, 119㎡는 12억5천만원에서 12억8천만원으로 2천만-3천만원 정도 호가가 상승한 가운데 그대로 멈춰있다.
송파공인 관계자는 "집주인들의 기대감은 커져 있는데 매수자들이 움직이지 않는다"며 "며칠 더 상황을 지켜봐야 가격이 상승세를 탈 지, 다시 하락할 지 윤곽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개포동 일대도 잠잠하긴 마찬가지다. 강남구 개포동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재건축 대책이 나왔지만 호가 조정이나 매물 변동은 거의 없다"며 "집주인들의 기대감은 있는 것 같은데 아직은 지켜보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송파구 가락 시영, 강남구 역삼동 개나리5차 등 일부 재건축 단지에서는 조합원 전매금지가 풀리면서 자금압박을 받고 있던 집주인들의 매물이 나오기 시작했다. 삼천공인 관계자는 "전매금지로 못팔았던 사람들 매물이 늘어날 것 같다"며 "하지만 매수자들이 잠잠해 대출이나 세금규제를 풀어줘야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덕동 실로암공인 대표는 "재건축 규제 완화폭이 크지 않고, 수요를 뒷받침해줄 정책이 없다보니 시장에 반응이 없는 것"이라며 "정부가 조만간 발표할 세제개혁 등을 봐가며 매수자들이 움직일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송파구 가락 시영, 강남구 역삼동 개나리5차 등 일부 재건축 단지에서는 조합원 전매금지가 풀리면서 자금압박을 받고 있던 집주인들의 매물이 나오기 시작했다. 삼천공인 관계자는 "전매금지로 못팔았던 사람들 매물이 늘어날 것 같다"며 "하지만 매수자들이 잠잠해 대출이나 세금규제를 풀어줘야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덕동 실로암공인 대표는 "재건축 규제 완화폭이 크지 않고, 수요를 뒷받침해줄 정책이 없다보니 시장에 반응이 없는 것"이라며 "정부가 조만간 발표할 세제개혁 등을 봐가며 매수자들이 움직일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