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09.12 18:22
수정 : 2008.09.12 18:22
[그린벨트 추가해제]
의왕·광명·시흥 “그린벨트 풀어야”…고양 “땅 사려는 사람 많아”
정부가 서민용 주택공급 확대를 명분으로 수도권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추가로 풀 것을 검토하자, 후보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이 잇따라 반색하고 있다. 해당 지역의 일부 부동산 중개업소에서는 12일 평소보다 훨씬 많은 문의전화를 받고 있다.
이형구 의왕시장은 12일 “시의 89%가 그린벨트에 묶여 있다. 임야를 제외한 나머지 그린벨트는 모두 해제해 아파트와 함께 기업의 산업생산시설을 유치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효선 광명시장도 “기아차 소하리공장은 공장 전체가 그린벨트로 묶여 그동안 라인을 신·증설하지 못하고 있다. 30년간 자동차 생산 공장이 그린벨트로 묶여 있는 것은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흥시 관계자는 “이번 기회에 무허가 공장이나 비닐하우스 등으로 얼룩진 무늬 뿐인 그린벨트 지역을 대폭 풀어야 한다”고 밝혔다.
일부 지역 부동산 시장은 들썩거릴 조짐도 있다.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 ‘대박공인중개사’대표는 이날 “토지 거래는 통 문의가 없었는데 갑자기 몇 통씩 전화를 받고 있다. 어디가 풀릴 것 같은지, 매물은 있는지 등을 물어온다”고 전했다. 이곳 주민 황아무개(38)씨는 “덕양구는 그린벨트임에도 땅을 사려는 사람이 많으며 주민들도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고 말했다. 덕양구는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원장이 지난 11일 해제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언급한 지역(서울과 일산의 중간)에 해당한다.
추석 밑이어선지 반응이 잠잠한 곳도 있다. 과천시 갈현동에 있는 한 중개업소 사장은 “정부가 그린벨트를 풀어 택지지구로 조성을 하면 땅 주인들은 시가 이하로 수용 당한다. 지자체야 인구 유입과 세수 증가 효과가 있어 환영하지만 땅 주인들은 별로 좋을 게 없다”며 그린벨트 해제 효과의 한계를 설명하고, “게다가 아직 어디가 해제지역으로 지정될지 막연한 상황에서 벌써부터 들썩거리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송창석 기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