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 4개 재건축아파트 자가거주 비율
|
청담삼익등 4곳 자가 거주비율 41% 불과
서울 강남·서초구의 주요 재건축 대상 아파트 단지의 자가 거주 비율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이 아파트 소유자의 절반 이상은 투기적 수요에 의해 집을 사둔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주택 공급이 부족해 중대형 평형의 공급을 늘려야 하는 지역으로 떠오른 강남(100.2%), 서초구(100%)의 주택보급률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이미 100%를 넘어, 서울시 평균 주택보급률(86.3%)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교통부는 최근 강남구 청담삼익, 대치청실, 개포주공2단지, 서초구의 반포주공2단지 등 4곳의 재건축 추진단지 9197가구를 대상으로 자가 거주 비율을 조사한 결과, 자가 거주 가구는 41%인 3855가구에 불과했다고 29일 밝혔다. 해당 단지가 아닌 인근이나 다른 지역에 거주하며 이들 단지의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는 5342가구(59%)였다. 이 가운데 서울지역 거주자의 소유 가구는 3286가구, 경기지역 거주자는 1168가구, 나머지 888가구는 기타 지역이었다. 단지별로 보면,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의 경우 전체 5211가구 가운데 32%인 1643가구만 집주인이 살고 있고, 서초구 반포주공2단지는 51%만 자가 소유였다. 35~54평형의 중대형 평형으로 구성된 청담삼익과 31~46평형인 대치청실은 자가 거주비율이 비교적 높아 각각 67%, 53%로 조사됐다. 건교부 관계자는 “집주인이 자기 집을 전세주고 다른 지역에 사는 것은 투자 또는 투기적 수요로 밖에 볼 수 없다”며 “이런 것을 토대로 분석해 보면 강남의 집값 상승은 주택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강남지역의 집값을 잡기 위해서는 주택을 공급하기보다 투기를 못하도록 수요를 억제하는 대책이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