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주택이 청약, 매매, 전·월세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전용면적 59㎡가 평균 74.2 대 1의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던 서울 잠원동 ‘신반포자이’ 본보기집. 지에스(GS)건설 제공
|
주택시장 찬바람 그래도 주목할 곳은
최근 주택담보대출 여신 심사 강화와 공급 과잉 우려로 주택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지만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주택에 대한 관심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전세난이 심각해진데다 소형의 주된 수요층인 2~3인 가구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업계에선 올해 주택시장이 다소 위축된다고 해도 생애 첫 주택구입자 등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소형 아파트의 인기는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꺼지지 않는 소형 아파트 인기 올해 들어 신규 아파트 분양시장에도 냉기가 돌고 있지만 소형 아파트만큼은 무풍지대다. 지난달 지에스(GS)건설이 서울 잠원동에 분양한 ‘신반포자이’는 전용 59㎡형 43가구에 3189명이 청약해 평균 74.2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84㎡형(15.4 대 1)보다 훨씬 많은 청약자가 소형에 몰린 것이다. 집값 상승폭도 소형이 앞서고 있다. ‘부동산114’가 올해 1월 수도권의 평균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을 전년 같은 달에 견줘보니,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은 7.93%(3.3㎡당 1047만원→1130만원), 전용면적 60~85㎡ 이하 중형은 5.85%(3.3㎡당 1112만원→1177만원), 전용면적 85㎡ 초과 대형은 3.42%(3.3㎡당 1314만원→1359만원)로 집계됐다. 3.3㎡당 전셋값도 같은 기간 소형이 15.71%(732만원→847만원) 뛰어올라 중형(14.92%)과 대형(13.69%)의 상승폭을 웃돌았다. 소형주택은 최근 저금리 조건에서 대출을 끼고 구입하기에도 부담이 적다. 부부 합산 연소득 6000만원 이하(생애 최초 주택구입자는 7000만원) 무주택 가구주가 전용 85㎡ 이하 주택을 구입할 때 받을 수 있는 정책자금 대출인 ‘디딤돌대출’은 주택가격의 70% 이하, 최대 2억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2월 셋째 주 현재 수도권의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의 평균 매맷값이 2억4844만원인 것을 고려하면 7000만~8000만원 정도의 자기 자금만 있다면 소형 내집 마련이 가능한 셈이다. 디딤돌대출의 금리는 연 2.3~3.1%인데, 올해부터 신혼부부에게는 0.2%포인트를 깎아준다. 2~3인 가구 꾸준히 늘고생애 첫 주택구입 등 실수요자 ‘탄탄’
중형보다 ‘가성비’ 높아 잠원 신반포자이 59㎡ 74 대 1
1년간 아파트 매맷값 상승률도
소형 7.9% 올라 중·대형 앞질러 서울 구의·남가좌동 재건축 눈길
의정부·운정·안산 등 물량 많아
|
수도권 주요 소형 아파트 공급 계획
|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