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1.09 12:12
수정 : 2006.01.09 14:47
"건교부와 주택시장 안정 위해 협력"
최근 용적률 완화설이 나돌던 대치동 은마아파트 등 서울 강남 고층 재건축 아파트 단지(3종 일반주거지역)의 기준 용적률이 210%로 묶일 전망이다.
서울시는 9일 "재건축 기본계획안에 대해 시의회 의견을 청취하는 과정에서 대치동 은마아파트 등의 기준 용적률을 210%에서 230%로 상향 조정하자는 의견이 나왔으나 원래 방침대로 210%를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재건축 기본계획은 이달 18일 민간전문가들도 참석하는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인데, 그 과정에서 시는 `210% 유지' 의견을 강력히 개진한다는 방침이다.
허영 시 주택국장은 "최근 강남 재건축 단지의 용적률이 완화된다는 언론 보도로 부동산 시장이 불안한 점을 감안, 도시계획위원들에게 당초 시의 계획대로 용적률을 210%로 결정해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라면서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필요한 조치임을 설명하면 위원들도 수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시계획위가 시의회 의견대로 기준 용적률을 230%로 결정하더라도 시장이 재심의를 요청할 수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시는 지난해 10월 3종 일반주거지역의 기준 용적률을 210%로 하는 재건축 기본계획안을 처음으로 마련해 주민 공람을 거쳤다. 그후 시의회는 2종에서 3종으로 상향된 지역과 당초부터 3종이었던 지역의 차별성을 이유로 애초부터 3종이었던 지역의 기준 용적률을 230%로 올리자는 의견을 냈다.
이런 소식이 알려지자 은마아파트의 호가가 수천만원씩 뛰는 등 강남 재건축 집값이 불안한 동향을 보였었다. 시 관계자는 "시의회 의견도 검토를 했으나 용적률 상향 검토가 보도된 이후 강남 주택시장이 불안정한 동향을 보여 210%로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기준 용적률 230% 완화가 검토됐던 곳은 대치 은마, 대치 쌍용 1.2차, 도곡 삼익.서린, 잠실 우성, 송파 반도, 방배 신동아 등 28개 아파트 단지였다.
한편 허 국장은 "용적률 완화안 검토에 대해 일부 언론에서 시가 건설교통부와 합의를 깼다고 보도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건교부와 계속 협력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승섭 정성호 기자
ss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