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7.26 18:36
수정 : 2005.07.26 18:40
회사안팎 “구조조정 · 조직정비 먼저” 목소리
주총 승인을 거쳐 8월19일 취임하는 남중수 케이티(KT) 차기 사장에게 “회사를 효율성 높은 민간기업으로 탈바꿈시킬 생각을 하고 있다면 첫 해의 경영목표를 마이너스 성장으로 잡으라”고 권하는 목소리가 회사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이런 당부와 바램은 주주와 정책담당자쪽에서도 나오고 있다.
케이티 고위관계자는 26일 “민영화 이후 주주 중심의 경영을 하겠다며 매출과 이익 극대화에 집착하다 보니, 주주쪽에서 봐도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더 많은 경영을 해온 게 사실”이라며 “목표를 마이너스 성장 수준으로 낮춰 시간을 번 뒤 사업 구조조정과 조직을 정비하는 일부터 다시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케이티의 다른 고위관계자는 “민영화 이후 케이티의 경영실적이 좋아진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미래에 발생할 매출을 억지로 앞당기고, 공익 기능과 업계 맏형으로써의 구실을 소홀히 하면서 착시현상이 발생한 것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음성통화 매출 하락을 대세로 받아들인 외국 통신업체들은 바닥을 확인하고 새로운 통신사업으로 다시 도약하고 있는데 비해, 케이티는 여전히 빠지지 않기 위해 허우적대는 모습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지적은 학계에서도 나오고 있다. 한 학계 전문가는 “가장 큰 수익을 내는 음성통화 매출이 해마다 줄고 있는 상태에서 매출 목표를 높여잡아 경영계약을 맺다 보니, 업체간 짬짜미와 무리한 할당 판매 같은 부작용이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케이티 매출은 이동전화 등장 이후 전화부문의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는 계속 증가했다. 케이티에프 개인휴대전화 재판매와 초고속인터넷 사업의 매출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펴온 결과다. 이에 따라 미래 수익을 앞당겨 소진하고 있는데다 무리수를 두는 과정에서 정부의 규제 강화를 자청해 앞으로가 걱정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케이티 관계자는 “민영화 이후 6만명 가까웠던 임직원을 3만8천여명으로 줄인 것 외에는 별다른 구조조정 노력이 없었다”며 “반대로 매출과 수익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한국을 대표하는 통신업체로써의 리더십을 잃고, 돈 되는 일이면 고객의 개인정보 침해까지도 서슴치 않는 기업이란 오명을 얻었다”고 말했다.
이런 지적은 투자자쪽에서도 나오고 있다. 한 외국계 투자업체 임원은 최근 정보통신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투자자가 볼 때 케이티의 가장 큰 위험성은 경영진이 주주 가치를 높여주겠다며 무리수를 두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통부 고위관계자는 “케이티의 경영전략은 정부의 정보통신산업 육성 정책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국민이 케이티에게 공익적 기능과 리더십을 가져줄 것을 요구하는 것은 보기에 따라 ‘천형’일수도, 가장 큰 자산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