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원 100명으로-생산직 임금총액 14.6%↓ 구조조정 문제로 갈등을 빚어오던 ㈜코오롱 노사가 임금 삭감을 통해 정리해고 대상자를 최소화하는 데 합의했다. 코오롱 노사는 1일 경북 구미공장에서 열린 협상에서 직원 3084명(지난해 11월 기준) 중 970여명(전체 직원의 약 32%)을 감원하고, 지난해 생산직 임금을 총액 기준으로 14.6% 삭감한다는 내용의 인원 조정안에 합의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협상타결은 노조쪽이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사쪽은 정리해고 대상자를 최소화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며 “이로써 지난해 12월부터 계속돼 온 코오롱의 인적 구조조정 작업이 최종 확정됐다”고 말했다. 노사는 또 올해 임금, 단체 교섭은 않기로 했다. 회사 쪽은 지난달 18일 노동부에 제출한 정리해고 계획에서 대상자를 304명으로 신고했으나, 이번 합의로 추가 인원감축 대상은 100여명으로 줄어들게 됐다. 이들은 오는 4일까지 조기퇴직우대제 방식을 통해 퇴직 처리할 계획이다. 대신 노조는 결근이 없는 직원들이 받는 만근수당 지급 중단, 호봉 승급 보류, 상여금 200% 삭감 등을 통해 임금을 15%가량 삭감하는 데 동의했다. 앞서 회사 쪽은 지난해 12월부터 조기퇴직우대제를 실시해 지난 1월18일까지 모두 871명을 퇴사시켰다. 회사 관계자는 “노사갈등으로는 경제 불황을 이겨낼 수 없다는 생각으로 노사가 한 발씩 양보해 인력구조조정에 전격 합의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노조 관계자는 “정리해고 대상자를 줄이기 위해서 회사 쪽과 합의했다”며 “인원조정과 관련해 회사가 적정 인력을 유지토록 해 준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는 만큼, 회사가 결원충원과 고용안정을 위해 얼마나 노력할지 등을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코오롱은 지난해부터 범용 섬유사업을 축소하고 전자재료 및 고부가 자동차 사업을 강화하는 등 사업 구조조정을 추진해 왔다. 이 과정에서 구미공장 등 기존 섬유사업부 인력에 대한 구조조정을 단행해 두달 넘게 총파업이 진행돼 온 데 이어 최근에도 추가 인력 구조조정을 놓고 노사간 갈등을 겪어 왔다. 한편 회사 쪽은 인적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했던 징계 조치를 철회하고 노조도 사쪽을 상대로 제기했던 고소, 고발, 진정 등을 모두 취하하기로 했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
코오롱 “해고 줄이고 임금 삭감” |
노사 상생해법 전격합의…“징계·고소 철회”
감원 100명으로-생산직 임금총액 14.6%↓ 구조조정 문제로 갈등을 빚어오던 ㈜코오롱 노사가 임금 삭감을 통해 정리해고 대상자를 최소화하는 데 합의했다. 코오롱 노사는 1일 경북 구미공장에서 열린 협상에서 직원 3084명(지난해 11월 기준) 중 970여명(전체 직원의 약 32%)을 감원하고, 지난해 생산직 임금을 총액 기준으로 14.6% 삭감한다는 내용의 인원 조정안에 합의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협상타결은 노조쪽이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사쪽은 정리해고 대상자를 최소화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며 “이로써 지난해 12월부터 계속돼 온 코오롱의 인적 구조조정 작업이 최종 확정됐다”고 말했다. 노사는 또 올해 임금, 단체 교섭은 않기로 했다. 회사 쪽은 지난달 18일 노동부에 제출한 정리해고 계획에서 대상자를 304명으로 신고했으나, 이번 합의로 추가 인원감축 대상은 100여명으로 줄어들게 됐다. 이들은 오는 4일까지 조기퇴직우대제 방식을 통해 퇴직 처리할 계획이다. 대신 노조는 결근이 없는 직원들이 받는 만근수당 지급 중단, 호봉 승급 보류, 상여금 200% 삭감 등을 통해 임금을 15%가량 삭감하는 데 동의했다. 앞서 회사 쪽은 지난해 12월부터 조기퇴직우대제를 실시해 지난 1월18일까지 모두 871명을 퇴사시켰다. 회사 관계자는 “노사갈등으로는 경제 불황을 이겨낼 수 없다는 생각으로 노사가 한 발씩 양보해 인력구조조정에 전격 합의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노조 관계자는 “정리해고 대상자를 줄이기 위해서 회사 쪽과 합의했다”며 “인원조정과 관련해 회사가 적정 인력을 유지토록 해 준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는 만큼, 회사가 결원충원과 고용안정을 위해 얼마나 노력할지 등을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코오롱은 지난해부터 범용 섬유사업을 축소하고 전자재료 및 고부가 자동차 사업을 강화하는 등 사업 구조조정을 추진해 왔다. 이 과정에서 구미공장 등 기존 섬유사업부 인력에 대한 구조조정을 단행해 두달 넘게 총파업이 진행돼 온 데 이어 최근에도 추가 인력 구조조정을 놓고 노사간 갈등을 겪어 왔다. 한편 회사 쪽은 인적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했던 징계 조치를 철회하고 노조도 사쪽을 상대로 제기했던 고소, 고발, 진정 등을 모두 취하하기로 했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감원 100명으로-생산직 임금총액 14.6%↓ 구조조정 문제로 갈등을 빚어오던 ㈜코오롱 노사가 임금 삭감을 통해 정리해고 대상자를 최소화하는 데 합의했다. 코오롱 노사는 1일 경북 구미공장에서 열린 협상에서 직원 3084명(지난해 11월 기준) 중 970여명(전체 직원의 약 32%)을 감원하고, 지난해 생산직 임금을 총액 기준으로 14.6% 삭감한다는 내용의 인원 조정안에 합의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협상타결은 노조쪽이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사쪽은 정리해고 대상자를 최소화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며 “이로써 지난해 12월부터 계속돼 온 코오롱의 인적 구조조정 작업이 최종 확정됐다”고 말했다. 노사는 또 올해 임금, 단체 교섭은 않기로 했다. 회사 쪽은 지난달 18일 노동부에 제출한 정리해고 계획에서 대상자를 304명으로 신고했으나, 이번 합의로 추가 인원감축 대상은 100여명으로 줄어들게 됐다. 이들은 오는 4일까지 조기퇴직우대제 방식을 통해 퇴직 처리할 계획이다. 대신 노조는 결근이 없는 직원들이 받는 만근수당 지급 중단, 호봉 승급 보류, 상여금 200% 삭감 등을 통해 임금을 15%가량 삭감하는 데 동의했다. 앞서 회사 쪽은 지난해 12월부터 조기퇴직우대제를 실시해 지난 1월18일까지 모두 871명을 퇴사시켰다. 회사 관계자는 “노사갈등으로는 경제 불황을 이겨낼 수 없다는 생각으로 노사가 한 발씩 양보해 인력구조조정에 전격 합의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노조 관계자는 “정리해고 대상자를 줄이기 위해서 회사 쪽과 합의했다”며 “인원조정과 관련해 회사가 적정 인력을 유지토록 해 준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는 만큼, 회사가 결원충원과 고용안정을 위해 얼마나 노력할지 등을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코오롱은 지난해부터 범용 섬유사업을 축소하고 전자재료 및 고부가 자동차 사업을 강화하는 등 사업 구조조정을 추진해 왔다. 이 과정에서 구미공장 등 기존 섬유사업부 인력에 대한 구조조정을 단행해 두달 넘게 총파업이 진행돼 온 데 이어 최근에도 추가 인력 구조조정을 놓고 노사간 갈등을 겪어 왔다. 한편 회사 쪽은 인적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했던 징계 조치를 철회하고 노조도 사쪽을 상대로 제기했던 고소, 고발, 진정 등을 모두 취하하기로 했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