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4.14 01:22 수정 : 2006.04.14 01:22

미국인들 사이에 대학입학이나 취업 등을 위해 자신의 유전 계보를 확인하는 상업용 DNA 검사가 확산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앨런 몰다워씨는 지난해 백인으로만 생각했던 쌍둥이 입양 아들 매트와 앤드루에 대한 DNA 유전자 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이들은 80%는 유럽인이지만 아메리카 원주민 피가 9%, 북아프리카 인종 피가 11%가 가미돼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미리 알았더라면 이들이 대학에서 재정지원을 받는데 도움이 될 수 있었던 조사 결과다.

올해 20세인 애쉴리 클레트의 여동생도 최근 DNA 유전자 검사를 통해 자신이 `2%는 동아시아인, 98%는 유럽인'이라는 감식 결과를 받아낸 뒤 원하는 대학의 입학원서에 인종을 `아시아인'이라고 적었다.

결국 그녀는 입학 허가를 받은 것은 물론, 소수인종에게 돌아가는 장학금 혜택도 받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이런 사례를 전하면서 유전자 검사가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어디서 왔고, 왜 이렇게 행동을 하고, 어떤 질병을 얻을 가능성이 큰지 등을 파악하는 것 뿐 아니라 입학, 취업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는 것.

`DNA 트라이브스'나 `에스노 엔시스트리' 등의 DNA 유전자 검사회사들은 99달에서 250 달러만 내면 의뢰인의 뿌리를 찾아준다고 약속하고 있다.

`DNA 프린트 지노믹스' 같은 회사는 아예 인터넷에 "소수 민족을 우대하는 대학에 입학하거나 정부 기관에 취업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지 여부를 검증해 보라"고 노골적인 호객행위를 하고 있다.


이에 대해 비판론자들은 인종적 차별에 의해 불이익을 받는 사람들을 합법적으로 보상해 주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DNA 검사에 의해 훼손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백인으로 보이는데 사실을 그렇지 않다고 해서 그들에게 보상적 조치를 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1988년 미 연방정부가 인디언 보호구역에 카지노 설립을 허용하는 법을 마련한 뒤 자신이 인디언의 후손임을 내세워 권리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급증한바 있다.

뉴욕대의 트로이 더스터 사회학 교수는 "자신들의 조상이 폴란드 사람인가 아닌가를 파악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단지 돈과 권력에 다가가기 위해 DNA 검사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래운 특파원 lrw@yna.co.kr (뉴욕=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