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4.21 22:59 수정 : 2006.04.21 22:59

워싱턴 포스트 등 미국의 주요 언론들은 20일 전날 백악관에서 열린 조지 부시 대통령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에서 북한및 이란 문제에 어떠한 돌파구도 없었다고 보도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미-중, 함께 서 있으나 같지 않아', '후, 대 이란ㆍ북한 입장 반복', '부시, 후주석에게서 돌파구 마련 못해' 등의 제목으로 이같이 전했다.

이 신문은 부시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이란의 핵 프로그램 중단 압력을 증가하려는 자신의 전략에 대한 중국의 반대가 완화되길 기대한 반면, 후 주석은 대만 문제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이란 문제에서는 외교적인 협상을 공개적으로 고수했다고 말했다.

특히 후 주석은 북한 핵과 관련, "6자 회담이 몇가지 어려움"에 봉착했다고 인정했으나 이를 풀기 위한 어떠한 제안도 하지 않은 채 협상국들에게 보다 더 유연성을 보이길 촉구했다"고 전했다.곧 6자 회담의 교착상태를 해소하기위해 미국측에 양보할 것을 주문했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이어 후 주석이 오찬때 건배 제안을 하면서 중국과 미국을 가리켜 '최대의 개발 도상국','최대의 선진국' 등의 표현을 써가며 양국 관계의 동등성을 강조한 반면, 부시 대통령은 후 주석에게 '국빈 만찬'도 제공하지 않고 미-중 관계를 단순히 '중요한 관계'라고만 표현하는 등 "중국은 동등하지 않다는 것을 알리려 했다"고 말했다.

한편 뉴욕 타임스는 '부시 대통령의 오랜 곤경: 중국, 영향주기 힘든 나라임을 증명'이라는 긴 제목의 기사를 통해 "부시 대통령은 중국이 가장 큰 영향령을 갖고 있는 북한 문제, 중국이 주요 석유 고객인 이란 문제, 끝이 보이지 않는 무역 적자 등과 관련해서 양국 관계에 돌파구가 필요했다"면서 "그러나 그는 그러한 돌파구를 얻을 가능성이 점점 더 작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특히 "부시 대통령은 이번 회담이 북한 위기와 관련해 최대의 기회라고 분명히 생각했다"면서 "그는 중국과 비핵화된 한반도라는 목표를 공유하고 있음을 빈번히 지적했고 후 주석도 이를 재확인 했으나, 실제로는 중국은 북한 국경에서의 혼란이나 북한 정부의 붕괴를 결코 원치 않기 때문에 현재 상태에 대해 불만스러워 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