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언론, "미-중 정상회담 돌파구 없었다" |
워싱턴 포스트 등 미국의 주요 언론들은 20일 전날 백악관에서 열린 조지 부시 대통령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에서 북한및 이란 문제에 어떠한 돌파구도 없었다고 보도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미-중, 함께 서 있으나 같지 않아', '후, 대 이란ㆍ북한 입장 반복', '부시, 후주석에게서 돌파구 마련 못해' 등의 제목으로 이같이 전했다.
이 신문은 부시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이란의 핵 프로그램 중단 압력을 증가하려는 자신의 전략에 대한 중국의 반대가 완화되길 기대한 반면, 후 주석은 대만 문제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이란 문제에서는 외교적인 협상을 공개적으로 고수했다고 말했다.
특히 후 주석은 북한 핵과 관련, "6자 회담이 몇가지 어려움"에 봉착했다고 인정했으나 이를 풀기 위한 어떠한 제안도 하지 않은 채 협상국들에게 보다 더 유연성을 보이길 촉구했다"고 전했다.곧 6자 회담의 교착상태를 해소하기위해 미국측에 양보할 것을 주문했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이어 후 주석이 오찬때 건배 제안을 하면서 중국과 미국을 가리켜 '최대의 개발 도상국','최대의 선진국' 등의 표현을 써가며 양국 관계의 동등성을 강조한 반면, 부시 대통령은 후 주석에게 '국빈 만찬'도 제공하지 않고 미-중 관계를 단순히 '중요한 관계'라고만 표현하는 등 "중국은 동등하지 않다는 것을 알리려 했다"고 말했다.
한편 뉴욕 타임스는 '부시 대통령의 오랜 곤경: 중국, 영향주기 힘든 나라임을 증명'이라는 긴 제목의 기사를 통해 "부시 대통령은 중국이 가장 큰 영향령을 갖고 있는 북한 문제, 중국이 주요 석유 고객인 이란 문제, 끝이 보이지 않는 무역 적자 등과 관련해서 양국 관계에 돌파구가 필요했다"면서 "그러나 그는 그러한 돌파구를 얻을 가능성이 점점 더 작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특히 "부시 대통령은 이번 회담이 북한 위기와 관련해 최대의 기회라고 분명히 생각했다"면서 "그는 중국과 비핵화된 한반도라는 목표를 공유하고 있음을 빈번히 지적했고 후 주석도 이를 재확인 했으나, 실제로는 중국은 북한 국경에서의 혼란이나 북한 정부의 붕괴를 결코 원치 않기 때문에 현재 상태에 대해 불만스러워 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