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20 18:37 수정 : 2006.06.20 18:37

부시,루카센코 대통령 등 자산동결 명령
“독재정권 응징”…‘친러 노선’에 보복 해석도

미국이 러시아의 우방인 벨로루시의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 등에 대해 자산동결조처를 내리며 압박 수준을 높이고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이 독재체제 ‘응징’을 내세우는 가운데, 러시아와 서방의 ‘고래 싸움’에 러시아 문간에 있는 벨로루시가 곤욕을 치룬다는 시각도 나온다.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19일 벨로루시의 루카셴코 대통령, 정보기관장, 내무·법무 장관, 국영방송 사장 등 10명에 대한 자산동결 명령을 내렸다. 대상자들은 미국 내 자산에 대해 재산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됐고, 미국 기업 또는 미국인들과의 거래도 금지된다. 그러나 백악관은 루카셴코 대통령이 미국 안에 보유한 자산이 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토니 스노 백악관 대변인은 “기만적 대통령 선거, 이에 항의하는 시위 탄압, 대선 후보와 야당 지지자들 구금”이 자산동결 이유라고 밝혔다. 유럽연합은 이미 벨로루시 정부 고위층의 입국금지와 자산동결에 들어갔다. 미국은 지난달 입국금지 조처를 내렸다.

1994년 권력을 잡은 루카셴코 대통령은 지난 3월 82.6%의 압도적 득표율로 3선에 성공했다. 미국과 유럽연합은 야당 탄압이 자행된 불공정 선거라며 결과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들은 루카셴코 대통령을 “유럽의 마지막 독재자”라고 부른다. 반대로, 러시아는 선거의 적법성을 인정했다. 옛 소련에 속했던 벨로루시는 러시아와 같은 슬라브계 민족국가이고, 국경이 붙은 두 나라의 통합도 추진되고 있다.

잇따른 제재가 당장 효과를 보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고위직 30여명의 입국금지나 자산동결이 벨로루시의 체제나 경제에 당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근거는 나오고 있지 않다. 벨로루시도 이에 대한 보복으로 유럽연합 관리들의 입국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루카셴코 대통령은 최근 “대립을 그만두자”며 유럽연합에 화해를 제안했다.

루카셴코 정권에 못지않은 독재권력에 짓눌린 옛 소련 지역 국가들이 여럿인데도, 미국이 유독 벨로루시한테만 거칠게 나오는 것은 ‘정치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많은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나라들이 유럽연합이나 나토에 들어가려고 노심초사하거나 친서방 노선을 걷지만, 벨로루시는 그렇지 않다. 민주주의와 인권을 내세워 제재를 정당화하는 부시 대통령은 지난 4월 부자세습으로 비난받는 아제르바이잔의 일함 알리예프 대통령을 백악관으로 초대해 환대했다. 아제르바이잔은 원유 생산과 수송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나라다.

이런 가운데 벨로루시는 지난 17일부터 양국 합동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등 러시아와의 유대를 강화하고 있다.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