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타임즈 “카트리나 구호작업 부정부패로 얼룩” |
지난해 멕시코만을 강타한 허리케인 카트리나 구호작업이 미국 역사에서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총체적 부정부패 사례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고 뉴욕타임스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자체집계 결과 연방재난관리청(FEMA)이 집행한 구호자금 190억달러 가운데 11%에 해당하는 20억달러 정도가 허위, 과당 청구 등으로 인해 부적절하게 새나가거나 낭비됐을 정도로 구호자금 집행과정이 기만과 사기로 점철됐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각각의 사례를 들여다보고 있으면 뻔뻔스럽고 비양심적인 사기행태, 그리고 당국의 무능에 '깜짝 놀랄 정도"라면서 어떻게 이렇게 많은 구호자금이 낭비될 수 있는 지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개탄했다.
텍사스주의 한 호텔업주는 투숙한 이재민 수를 부풀려 23만2천달러를 허위청구했다 덜미를 잡혔으며 멕시코만 주변 교도소에 수감돼 있는 재소자 1천100명이 연방 구호자금을 신청해 1천200여만달러를 챙기려다 덜미를 잡힌 사례도 있었다.
일리노이주의 한 여성은 있지도 않은 딸이 뉴올리언스에서 익사했다고 허위신고해 막대한 위로금을 챙겼으며 관리들도 뇌물을 받고 허위신고나 과당신고를 눈감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앨라배마주에서는 군 기지를 이재민 대피소로 바꾸는데 790만달러가 투자됐으나 이용자가 거의 없어 한달만에 폐쇄됐다.
FEMA는 8억6천만달러를 들여 이재민 임시주거용 컨테이너하우스 1만개를 주문했지만 이 가운데 절반 정도는 사용되지 않은 채 아칸소에 방치돼 있으며 한달에 25만달러의 보관비용까지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정, 낭비사례가 속속 드러나면서 관련기관의 조사도 탄력을 받고 있다.
사기 등의 혐의로 355명을 기소한 연방검찰의 수사활동과는 별도로 적십자사는 자체적으로 7천여건의 사기혐의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의회도 자체조사 결과를 토대로 7천여건의 사기혐의를 검찰에 수사의뢰했다.
연방검찰이 지금까지 카트리나 구호자금 관련 사기혐의로 기소한 335명은 이미 단일 허리케인 피해 관련 사기혐의자 최대 기소 기록이지만 공소시효인 5년이 지나기 전에 적어도 수천명이 추가로 기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공화당 소속의 수전 콜린스 상원 국가안보위원장은 "뻔뻔스럽고 대담한 사기행각과 낭비된 자금의 규모를 보고 있으면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으며 역시 공화당 소속인 마이클 맥콜 텍사스주 하원의원도 이재민 구호사업이 돈벌이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말았다고 개탄했다.
김계환 특파원 kp@yna.co.kr (뉴욕=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