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28 08:38 수정 : 2006.06.28 08:38

미국 전역의 교도소에서 활동중인 갱단들이 감시망을 뚫고 조직원간 의사 전달을 위해 암호문, 보이지 않는 잉크 등 기발한 방법들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음이 백일하에 드러나고 있다.

27일(이하 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지난 3월부터 로스앤젤레스 인근 샌타애나 법정에서 `아리안 형제단'에 대한 살인 및 협박 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활용해온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이 밝혀졌다.

`아리안 형제단'은 1960년대 샌퀜틴교도소에서 설립된 고도로 조직화된 전국 조직으로, 최상층 지도부로부터 내려지는 명령이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유명한 갱단.

`로키의 알카트라즈'라 불리는 콜로라도주 슈퍼맥스연방교도소에 수감중인 T.D.빙햄과 배리 밀스 등 3명의 최고위원회 밑에 여러명의 `카운슬러', 최하부 조직원인 `솔저' 등 약 100명의 정식 회원으로 구성돼 있고 기타 제휴 세력을 두고 있다.

철저한 비밀 보호를 꾀하는 이들은 외부인들에게 갱단 사업에 대해 논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고 심지어 갱단원임을 시인하는 것 조차 죽음으로 연결될 정도다.

현재 검찰이 혐의를 두고 있는 것은 1997년 8월 빙햄의 지시에 따라 슈퍼맥스 교도소에서 1천700마일 떨어진 펜실베이니아주 루이스버그 교도소에서 흑인 재소자 2명이 면도칼로 살해된 사건 등 20여년간 발생한 수십건의 살인 및 살인미수 사건이다.

그동안 교도소측은 피비린내 나는 갱단간 인종 전쟁 등을 막기 위해 철저한 면회객 감시, 전화내용 녹취, 우편물 검사 등 가능한 방법을 동원했지만 갱단은 감시망을 뚫고 메시지 전달하며 테러, 마약 등 자신들만의 폭력 세계를 운영했다.

루이스버그 교도소 사건의 경우 빙햄은 조지 워싱턴의 혁명군 시절 스파이들이 사용하던 `보이지 않는 잉크'를 사용해 명령문을 만들었고 이는 루이스버그의 최고 책임자 앨 벤튼에게 전달됐는데, 열을 가해야 나타나는 이 잉크는 재소자들이 소변이나 식물 열매를 이용해 만들었다.

현재 검찰이 확보한 증거물로는 암호화된 갱단원 명단, 나폴레옹 전기 속에 있던 전투준비 명령서 등으로, 검찰측은 이것들이 증인들의 증언을 뒷받침해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믿고 있다.

특히 1996년 `아리안 형제단'에 가입했다가 1998년 탈퇴, 증인으로 나선 맥긴리는 400년전 프란시스 베이컨이 고안한 암호술을 이용, 인종간 긴장이 고조되던 1997년 8월 빙햄의 "칼을 높이 들어라"는 지시를 퍼뜨렸다고 증언했다.

맥긴리는 `아리안 형제단' 지휘부에 불만을 품고 빙햄과 밀스 살해를 모의한 적이 있다고 밝혔는데, 빙햄의 변호인측은 이를 근거로 "맥긴리가 거짓을 꾸며 빙햄 등을 죽이려 한다"고 반박하고 있다.

변호인측은 또 "검찰측 주장이 애매하다. 의사소통을 한 것은 맞지만 상대편을 살해하려는 것이 아니라 자위적 차원이었다"고 주장했다.

http://blog.yonhapnews.co.kr/isjang/

장익상 특파원 isjang@yna.co.kr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